“4만7000가구 49층”…‘천지개벽’ 앞둔 목동, 재건축 밑그림 완성

3 days ago 5

뉴스 요약쏙

AI 요약은 OpenAI의 최신 기술을 활용해 핵심 내용을 빠르고 정확하게 제공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려면 기사 본문을 함께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서울 양천구 목동아파트 1~3단지의 재건축 정비계획안이 공개되면서, 목동 일대가 최대 49층, 약 4만7000가구의 주거단지로 탈바꿈할 전망이다.

특히 목동의 재건축이 가속화됨에 따라 아파트 가격이 상승세를 보이며, 매매 거래량도 눈에 띄게 증가하고 있다.

전문가는 실거주 수요와 재건축 기대감이 가격 상승에 기여하고 있으며, 신규 매수자에게는 신중한 접근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회원용

핵심 요약쏙은 회원용 콘텐츠입니다.

매일경제 최신 뉴스를 요약해서 빠르게 읽을 수 있습니다.

‘마지막퍼즐’인 1~3단지도
정비계획 수립 끝내 본궤도
“연내 모든 단지 구역 지정”

토지거래허가제 연장에도
수억씩 오르며 신고가 행진

서울 양천구 목동 일대 아파트 모습. [사진 = 연합뉴스]

서울 양천구 목동 일대 아파트 모습. [사진 = 연합뉴스]

서울 양천구 목동아파트 재건축의 ‘마지막 퍼즐’인 1~3단지를 1만238가구 규모 신축 아파트로 재건축하는 정비계획안이 공개됐다. 이로써 1980년대에 조성된 목동 14개 단지의 재건축 밑그림이 모두 완성됐다. 모든 단지가 고층(49층) 아파트로 탈바꿈하는 것이 특징이다. 재정비가 완료되면 목동 일대는 최고 49층, 약 4만7000가구의 미니신도시급 주거단지로 천지개벽할 전망이다.

10일 양천구에 따르면 현재 14개 단지 총 2만6629가구로 이뤄진 목동신시가지는 재건축을 통해 4만7392가구 규모의 신도시로 재탄생한다. 이날 구가 공개한 목동 1~3단지 정비계획안에 따르면 목동 1단지는 기존 1882가구에서 3500가구로, 목동 2단지는 1640가구에서 3415가구로 재건축된다. 목동 3단지는 1588가구에서 3323가구로 탈바꿈한다. 최고 층수는 모두 기존 15층에서 49층으로 높아진다.

목동 1~3단지는 안양천, 파리공원 등 수변과 녹지를 끼고 있다. 초중학교와 중심상권이 밀집한 입지다. 특히 제2종 일반주거지역에 속하는 목동 1~3단지는 개방형 녹지 조성에 따른 종상향으로 재건축 속도에 탄력이 붙었다. 목동서로(1.5㎞)와 목동중앙로(2.4㎞)를 따라 폭 8~15m의 녹지축을 연결해 국회대로 상부공원부터 안양천까지 이어지는 도심 속 숲길 ‘목동 그린웨이’를 조성한다.

사진설명

구는 주민 의견수렴, 구의회 의견청취, 신속통합기획 자문회의 등을 거쳐 상반기 내 서울시에 정비구역 지정을 신청할 계획이다.

목동아파트 정비사업은 작년부터 급물살을 타고 있다. 이번에 1~3단지 정비계획까지 공개되면서 14개 단지 전체의 재정비 밑그림이 구체화됐다. 지난해 8월 6단지를 시작으로 최근 8·12·13·14단지까지 모두 5개 단지의 재건축 정비구역이 지정된 상태다. 이를 제외한 9개 단지의 경우 신속통합기획 자문 등 진행 과정에서 가구 수가 일부 변동될 수 있다. 양천구는 연내 모든 단지의 정비구역 지정을 목표로 하고 있다.

진행 속도가 가장 빠른 곳은 6단지다. 최고 49층, 2173가구로 재건축을 추진 중이다. 다음달 조합 설립을 위한 창립총회를 예정하고 있다. 상반기 내 조합설립 인가를 받는 게 목표다. 목동 최대 규모인 14단지는 지난달 정비구역으로 지정됐다. 이곳은 지상 49층, 5123가구의 ‘매머드급 단지’로 계획 중이다.

서울 양천구 목동6단지 아파트 단지 모습. [사진 = 연합뉴스]

서울 양천구 목동6단지 아파트 단지 모습. [사진 = 연합뉴스]

정비사업이 순항하자 가격 오름세가 가파르다.

목동2단지 전용면적 144㎡는 이달 30억9000만원에 손바뀜하며 신고가를 썼다. 직전 신고가인 30억원(2024년 11월)보다 1억원 가까이 오른 것이다. 작년 상반기만 해도 15억원대에서 거래되던 3단지 전용 64.98㎡는 이달 19억4000만원에 거래되며 최고가를 찍었다. 직전 신고가는 지난달(18억5000만원)로 거래될 때마다 신고가를 경신하고 있는 셈이다. 행정구역상 신정동에 속하는 이른바 ‘뒷단지’(8~14단지)도 가격이 상승세다. 작년 초만 해도 17억~19억원대에 거래되던 14단지 전용 108㎡는 지난달 22억4000만원에 손바뀜해 신고가를 기록했다. 직전 신고가는 작년 11월 21억9000만원이다.

이날 한국부동산원이 발표한 4월 첫째주(7일 기준) ‘전국 주간 아파트 가격 동향’에 따르면 이번주 서울 아파트값은 0.08% 올랐다. 상승폭은 전주(0.11%) 대비 소폭 줄었다. 양천구 아파트값은 전주 대비 0.14% 오르며 서울 평균보다 높은 상승률을 보였다. 한국부동산원은 “재건축 추진 단지 등 주요 선호단지에서는 매수 문의가 꾸준하고 상승 거래가 체결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거래량도 뒷받침된다. 서울부동산정보광장에 따르면 양천구 아파트 매매 신고 건수는 작년 1~3월 424건에서 올해 1~3월 763건으로 늘었다.

목동은 강남3구와 마찬가지로 토허제로 묶여 있지만 학군지라는 메리트에 실거주 수요가 높고 여기에 재건축 기대감까지 반영되면서 아파트값이 오르고 있다는 분석이다. 고종완 한국자산관리연구원장은 “학군지 수요가 꾸준한 상황에서 재건축도 가시화하면서 실거주와 미래가치를 모두 염두에 둔 실수요자들이 목동에 주목하는 것으로 보인다”면서 “교통, 학원가와의 접근성 등에 따라 단지별로 선호도와 가격편차가 발생할 수 있고 추가분담금 증가 가능성, 재건축 규제 방향의 변화 등 리스크도 존재하고 있어 신규 매수자는 신중한 접근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 기사가 마음에 들었다면, 좋아요를 눌러주세요.

좋아요 0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