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노벨 생리학·의학상 수상자 발표

2 days ago 4

  • Mary E. Brunkow, Fred Ramsdell, Shimon Sakaguchi가 2025년 생리의학 노벨상 수상
  • 수상 이유는 말초 면역 관용에 대한 획기적인 발견
  • 조절 T세포 발견을 통해 자가면역질환 발생 원인과 면역 시스템 조절 메커니즘을 규명
  • 이 발견은 암 및 자가면역질환 치료법 개발에 새로운 길을 열게 됨
  • Foxp3 유전자와 그 돌연변이의 역할을 규명하며 다양한 임상 적용 가능성을 제시함

2025년 생리의학 노벨상 수상 발표

2025년 10월 6일, Karolinska Institutet의 노벨위원회는 3명에게 2025년 생리의학 노벨상을 공동 수여함

  • Mary E. Brunkow(Institute for Systems Biology, Seattle),
  • Fred Ramsdell(Sonoma Biotherapeutics, San Francisco),
  • Shimon Sakaguchi(Osaka University, Osaka)
  • 수상 주제: “말초 면역 관용(peripheral immune tolerance)에 관한 발견”

말초 면역 관용과 면역 시스템 조절

  • 인체의 강력한 면역 시스템은 자신을 공격하지 않도록 정교한 조절 필요성 존재
  • 이들 수상자는 면역 시스템이 자가 조직 공격을 방지하는 방법을 최초로 체계적으로 규명함
  • 수많은 미생물로부터 신체를 보호하는 과정에서, 면역세포가 공격할 대상을 구별하는 기전을 밝힘

혁신적 발견 과정

  • 조절 T세포 발견(Shimon Sakaguchi)

    • 1995년 Shimon Sakaguchi는 당시 주류였던 '중심 관용(central tolerance)' 이론에 의문을 가짐
    • 그는 자기조직을 보호하는 새로운 종류의 면역세포(조절 T세포)를 발견, 자가면역질환에 대한 면역 관용 기전 확립
  • Foxp3 유전자(Brunkow, Ramsdell)

    • 2001년 Mary BrunkowFred Ramsdell은 특정 생쥐종이 자가면역질환에 취약한 이유를 규명함
      • 이 생쥐에 존재하는 Foxp3 유전자 돌연변이가 자가면역을 유발함을 규명
      • 인간에서도 Foxp3 돌연변이가 IPEX라는 중증 자가면역질환 원인임을 확인
    • Sakaguchi는 이후 Foxp3 유전자가 1995년 자신이 규명한 조절 T세포의 발달을 담당한다는 사실을 밝혀냄
  • 조절 T세포와 말초 관용

    • 조절 T세포는 다른 면역세포를 감시하며, 면역 시스템이 자신의 조직을 공격하지 않도록 관용 기능 수행
    • 이 발견으로 말초 면역 관용(central tolerance 외부 영역)이 새로운 연구 분야로 자리잡음

임상적 의의와 미래 가능성

  • 암, 자가면역질환, 이식 등 다양한 질환 치료에 적용 가능한 면역 조절 치료제 개발 가능성 제시
  • 여러 임상시험에서 혁신 치료법들이 현재 개발 및 실험 중임

수상자 및 상금 정보

  • Mary E. Brunkow: 1961년생, Princeton 대학 박사, Institute for Systems Biology 시니어 프로그램 매니저
  • Fred Ramsdell: 1960년생, UCLA 박사, Sonoma Biotherapeutics 과학 자문
  • Shimon Sakaguchi: 1951년생, Kyoto 대학 의학박사, Osaka University 교수
  • 상금 총액: 1,100만 스웨덴 크로나(약 14억 3천만원), 세 명이 동등하게 분배

추가 참고 자료, 일러스트 및 기타 정보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