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5%’ 앞세워 시진핑과 빅딜 원하는 트럼프…“협상 안되면 관세율 내가 정할 것”

9 hours ago 4

뉴스 요약쏙

AI 요약은 OpenAI의 최신 기술을 활용해 핵심 내용을 빠르고 정확하게 제공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려면 기사 본문을 함께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중국과의 무역 협상에서 대중 관세 인하 가능성을 시사하며, 협상 진척에 따라 관세율 조정 여부를 결정할 것이라고 밝혔다.

스콧 베선트 미 재무장관은 대중 관세가 지속 가능하지 않으며, 양국 간 무역 중단이 모두의 이익에 반한다는 입장을 내비쳤다.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미국과의 통상 협의를 통해 상호관세 철폐를 목표로 하고 있으며, 자동차 관세 문제 해결을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회원용

핵심 요약쏙은 회원용 콘텐츠입니다.

매일경제 최신 뉴스를 요약해서 빠르게 읽을 수 있습니다.

트럼프, 대중 관세율 조정 의지
“공정한 협상 될것” 거듭 회유
거부 땐 관세율 임의 조정 시사
“2~3주 내 관세율 결정될 것”
베선트는 중과 첫 ‘빅딜’ 언급

백악관, “中과 이미 협상 중”
韓, 워싱턴서 2+2 협의 진행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 [AFP = 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 [AFP = 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강대강으로 버티는 중국을 상대로 145%까지 치솟은 관세율을 조정할 뜻을 재차 피력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미국의 대중 관세 인하는 중국의 협상 태도에 달려 있다고 전제한 뒤 관련 협상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을 경우 앞으로 2~3주 내 관세율을 임의로 정하겠다는 뜻도 내비쳤다.

관련 논의를 이끌고 있는 스콧 베선트 미 재무장관도 현재 대중 관세가 지속가능하지 않다며 중국과 ‘빅딜’을 처음 언급하는 등 고위급 협상 테이블을 완성하기 위해 연방 유화 메시지를 발신하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23일(현지시간) 백악관 집무실에서 진행된 행정명령 서명식을 마친 후 취재진과의 질의응답에서 ‘얼마나 일찍 대중 관세율을 내릴 수 있느냐’는 질문에 “그들(중국)에 달려 있다”고 답했다.

그는 “90개국이 모두 협상을 원하고 있다”면서 “우리는 협상을 할 것이지만 공정한 협의가 될 것이다. 손해를 보는 협상은 하지 않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또한 협상이 제대로 진행되지 않으면 미국이 관세율을 정하게 될 것이라고 언급했다. 그는 “만약 우리가 기업이나 국가와 협상을 매듭짓지 못한다면 관세를 정할 수 있다”며 “앞으로 2~3주 동안 우리가 숫자를 정할 것이고, 여기엔 중국도 포함될 수 있다”고 말했다.

또 145%까지 상승한 대중 관세율을 거론하며 중국과 직접 협상이 이뤄지고 있느냐는 기자 질문에 “그렇다. 매일 하고 있다”고 답했다.

23일(현지시간) 백악관 집무실에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행정명령에 서명한 후 발언하고 있다. [로이터 = 연합뉴스]

23일(현지시간) 백악관 집무실에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행정명령에 서명한 후 발언하고 있다. [로이터 = 연합뉴스]

트럼프 대통령이 세율 인하 가능성을 시사한 데 이어 인하 시점까지 언급하면서 향후 미·중 간 고위급 협상 자리가 마련될지 귀추가 주목되는 상황이다. 이날 트럼프 행정부의 주요 관료들도 중국에 대한 유화적인 입장을 잇달아 내비쳤다.

베선트 장관은 이날 대중 관세를 두고 “무역 금수조치(embargo)에 상응하는 것이며, 양국 간 무역 중단은 양국 모두의 이익에 부합하지 않는다”고 밝혔다.

하루 전 중국과의 무역 전쟁에서 긴장이 완화될 것이라고 예상한 자신의 발언과 관련해 “긴장 완화가 미·중 간 관세율 인하를 의미하는 것이냐”는 기자 질문에 그는 “그렇게 돼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답했다.

베선트 장관은 트럼프 정부가 대중 관세를 품목에 따라 절반가량 인하하는 방안을 고려하고 있다는 언론 보도에 대해서도 “그런 논의가 진행된다고 (해도) 놀라지는 않을 것”이라고 호응했다.

케빈 해싯 백악관 국가경제위원회(NEC) 위원장 역시 이날 폭스뉴스와 인터뷰에서 ‘트럼프 대통령이 지난 48시간 동안 중국에 대한 톤이 훨씬 긍정적인 게 맞느냐’는 물음에 “우리는 중국에 대해 매우 낙관적이며, 특히 다른 모든 국가에 대해서는 더욱 낙관적”이라고 밝혔다.

또 중국이 협상 테이블로 오기만을 기다릴 수 없는 것 아니냐는 질문에 그는 “이미 협상을 시작했다”고 반박했다.

한편 24일로 예정된 트럼프 행정부와의 ‘2+2’ 통상 협의를 위해 이날 미국을 찾은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워싱턴DC 인근 덜레스 공항에서 기자들을 만나 “기본적으로 지금 상호관세가 부과된 것을 철폐하는 것이 목적”이라고 말했다.

그는 또 품목별 관세와 관련해 “지금 25% 품목별 관세가 부과된 자동차의 경우 대미 교역에 큰 문제를 야기하고 있다. 가급적이면 신속하게 이를 저희가 풀 수 있도록 협의해 나갈 계획”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여러 산업 협력 플랜을 협의해 향후 한미의 원만한 경제 산업 관계를 위해 이런 관세 문제가 양국 간에 불거지지 않도록 최대한 노력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안 장관은 미국 정부의 관세 문제에 대한 발언이 다소 유화적으로 바뀐 것과 맞물려 정부 협상 전략도 변화하는지를 묻자 “저희가 예상한 바”라면서 “우리가 그동안 준비해 온 것을 갖고 미국 측과 협의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 기사가 마음에 들었다면, 좋아요를 눌러주세요.

좋아요 0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