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 → 0.5% 내년 무역성장률 전망치 확 낮춘 WTO

4 hours ago 2

뉴스 요약쏙

AI 요약은 OpenAI의 최신 기술을 활용해 핵심 내용을 빠르고 정확하게 제공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려면 기사 본문을 함께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세계무역기구(WTO)는 미국의 관세로 인해 내년 글로벌 상품 무역 성장률이 0.5%로 둔화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특히 중동 지역의 무역 전망이 가장 크게 하향 조정됐으며, 미국의 관세 영향 및 보복관세 시행 가능성이 글로벌 무역 흐름을 악화시킬 것이라고 경고했다.

반면, 올해 글로벌 무역은 관세에도 불구하고 인공지능 관련 상품의 급증 덕분에 2.4% 성장할 것으로 보인다.

회원용

핵심 요약쏙은 회원용 콘텐츠입니다.

매일경제 최신 뉴스를 요약해서 빠르게 읽을 수 있습니다.

세계무역기구(WTO)가 미국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발 관세 충격으로 내년 글로벌 상품 무역 성장률이 크게 둔화할 수 있다고 전망했다.

7일(현지시간) WTO는 2026년 글로벌 상품 무역 성장률 전망치를 0.5%로 발표했다. 이는 지난 8월 발표한 1.8% 대비 대폭 하향 조정된 수치라고 파이낸셜타임스(FT) 등은 보도했다.

대부분의 지역에서 내년 무역 전망이 하향 조정됐다. 특히 중동 지역의 수출은 지난 4월 5.1%에서 10월 -0.9%로 가장 큰 폭으로 감소했다.

WTO는 내년부터 트럼프 관세 영향이 본격화되고, 다른 국가들의 보복관세도 시행될 가능성이 있어 글로벌 무역 흐름이 더욱 악화될 수 있다고 경고했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지난 1월 백악관으로 돌아온 이후 미국의 실효관세율은 기존 2.5% 미만에서 거의 17%로 뛰어올랐으며, 이는 1930년대 이후 최고치라고 FT는 전했다.

응고지 오콘조이웨알라 WTO 사무총장은 이날 스위스 제네바 본부에서 열린 기자회견에서 "미국의 '일방적인 행동'이 전례 없는 정책 불확실성을 초래했다"며 "내년 전망은 더 암울하기 때문에 우려스럽다"고 밝혔다.

다만 WTO는 올해 글로벌 무역이 트럼프 관세에도 불구하고 예상보다 더 나은 성과를 거둘 것이라며 무역 성장률 전망치를 지난 8월(0.9%)보다 상향된 2.4%로 조정했다.

이는 미국 기업들이 관세 발효를 앞두고 연초에 미리 상품을 대량으로 구입해 비축했기 때문이라고 WTO는 분석했다.

인공지능(AI) 관련 상품의 무역이 급증한 것도 영향을 끼쳤다. 반도체, 서버, 통신장비 등 100여 개 AI 관련 제품군의 올해 상반기 무역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20% 증가했다고 WTO는 밝혔다.

[김제관 기자]

기사 속 종목 이야기

  • 삼성전자

    005930, KOSPI

    89,000 + 3.49%
  • SK하이닉스

    000660, KOSPI

    395,500 + 9.86%
  • NVIDIA Corporation

    NVDA, NASDAQ

주의사항 : 본 서비스는 AI의 구조적 한계로 인해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모든 내용은 투자 권유 또는 주식거래를 목적으로 하지 않습니다.

이 기사가 마음에 들었다면, 좋아요를 눌러주세요.

좋아요 0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