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플러스 뿐만이 아니었네…올해 법정관리 신청 크게 늘었다

18 hours ago 1

뉴스 요약쏙

AI 요약은 OpenAI의 최신 기술을 활용해 핵심 내용을 빠르고 정확하게 제공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려면 기사 본문을 함께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올해 1~2월 회생절차를 신청한 기업 수가 전년 동기 대비 26% 증가한 196곳에 이르며, 경기 악화로 인해 생사기로에 있는 기업들이 큰 폭으로 늘어나고 있다.

법인회생은 채무 조정과 구조조정을 통해 경영 정상화를 추구하는 절차로, 올해는 법원에 신청한 기업 수가 더욱 증가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이러한 증가의 주요 원인은 경기 침체와 내수 부진, 부동산 경기 침체로 인해 어려움을 겪고 있는 기업의 수가 늘어난 데 있다.

회원용

핵심 요약쏙은 회원용 콘텐츠입니다.

매일경제 최신 뉴스를 요약해서 빠르게 읽을 수 있습니다.

1~2월 신청기업 196곳
지난해보다 41곳 늘어

서울회생법원 [사진=연합뉴스]

서울회생법원 [사진=연합뉴스]

올해 1~2월 회생절차를 신청한 기업 수가 전년 동기 대비 26% 늘어났다. 최근 할인점업계 2위 홈플러스와 명품 플랫폼 발란, 중견 건설사들의 회생 신청이 이어지는 등 경기 악화 여파로 생사기로에 서 있는 기업이 크게 늘어났다는 뜻이다.

3일 대법원 법원행정처에 따르면 올해 1~2월 전국 법원에 법인회생을 신청한 기업은 196곳이었다. 지난해 같은 기간 155곳에서 41곳 늘었다.

연간 기준으로도 증가세가 이어지고 있다. 지난해 회생을 신청한 법인은 총 1094곳으로 2023년(1024곳)보다 70곳 많았다. 2022년(661곳)과 비교하면 2배 가까이 늘어난 수준이다.

지난 1~2월 신청 건수를 감안하면 올해는 지난해보다 더 많은 기업이 회생을 신청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법인회생은 법원의 감독 아래 채무를 조정하고 구조조정을 통해 경영 정상화를 추진하는 절차다. 사업을 계속할 때의 가치가 청산 시보다 크다고 판단되면 회생이 가능하다.

회생절차를 밟는 기업이 늘어나는 가장 큰 이유는 경기 침체다. 우선 내수 부진으로 인해 어려움을 겪는 기업이 크게 늘어났다. 올해 회생을 신청한 홈플러스와 발란, 지난해 회생을 신청한 티몬과 위메프 등이 이런 흐름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례다.

부동산 경기 침체도 건설사들의 회생 신청 증가로 이어지고 있다. 금융비용이 급증한 가운데 신규 사업 추진도 막히면서 중소·중견 건설사들이 잇달아 법원 문을 두드리고 있다.

이 기사가 마음에 들었다면, 좋아요를 눌러주세요.

좋아요 0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