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기술로 개발된 클라우드 기반 진료 플랫폼이 남미 지역에서 시장을 확대하고 있다. 헬스온클라우드는 지난 26~28일 멕시코시티 테크데몬테레이 틀랄판 혁신클러스터에서 열린 글로벌헬스케어 혁신컨퍼런스에서 다양한 성과를 거뒀다고 31일 밝혔다.
헬스온클라우드는 이번 컨퍼런스에서 미주개발은행(IDB) 지원사업으로 진행되는 멕시코 대사질환·비만·당뇨 관리 프로젝트를 위해 몬테레이의대, 멕시코국립대사영양병원, 분당서울대병원, 칠곡경북대병원, 고려대안암병원 등과 양해각서를 체결했다.
지난해 1월부터 IBD 지원을 받아 콜롬비아 헬스케어 디지털전환 프로젝트를 수행하고 있는 업체는 미주개발은행으로부터 멕시코·브라질에 추가 사업도 수주했다. 멕시코에선 '대사질환·비만·당뇨', 브라질에선 '폐암'을 주제로 사업을 확장하고 있다.
컨퍼런스 기간 헬스온클라우드와 몬테레이대가 세운 조인트벤처의 사무실 개소식도 마련됐다. 멕시코 보건장관과 디지털헬스케어 도입 등에 대한 구체적인 논의도 진행했다고 업체 측은 설명했다.
이번에 5회차를 맞은 이번 컨퍼런스는 2021년 영국 맨체스터에서 시작한 뒤 한국, 싱가포르, 아랍에미레이트를 거쳐 멕시코에서 열렸다.
이번 컨퍼런스에는 데이비드 칼시노비치 멕시코 연방보건장관, 디아즈 데레온 연방과학기술혁신부차관, 멕시코 연방외교부, 멕시코시티 경제부 등 정부 관계자들과 루이스 헤레라 몬테레이의대 총괄학장 등 현지 주요인사 200여명이 참석했다.
임영이 한국보건산업진흥원 의료해외진출단장이 디지털헬스케어 규제와 정책, 원격진료 활성화에 관한 견해를 공유했다. 차상균 서울대 교수, 나군호 네이버헬스 소장도 참여했다. 멕시코, 영국, 미국, 싱가포르, 콜롬비아, 브라질, 뉴질랜드 등 글로벌 헬스케어 전문가들도 헬스케어 최신 트렌드와 혁신 방향 등을 논의했다.
분당서울대학교병원장을 지낸 전상훈 헬스온클라우드 대표는 "국가간 의료서비스 격차를 줄이는 것은 인류의 건강을 위한 매우 중요한 사명"이라며 "5G를 넘어 6G로 향하는 차세대 네트워크 기술과 데이터·인공지능·기계학습, 클라우드와 확장현실기술 등은 국가경계를 넘어 의료서비스 지식을 공유하는데 효율적인 인프라가 될 것"이라고 했다.
김종갑 글로벌디지털혁신네트워크(GDIN) 대표는 "헬스온클라우드와 몬테레이 의대가 세운 조인트벤처가 국산 헬스케어 기술이 남미에 진출하는 데에 유용한 게이트웨이 역할을 할 것"이라고 했다.
이지현 기자 bluesky@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