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 세계 홍역 유행이 지속되는 가운데 해외 유입 사례를 중심으로 국내 환자도 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0일 질병관리청에 따르면 올들어 지난 5일까지 국내에서 총 35명의 홍역 환자가 발생했다. 지난해 같은 기간 18명과 비교해 2배 가까이 늘어난 셈이다.
35명 가운데 23명(67.7%)이 해외에서 감염돼 들어온 경우이고 나머지 12명(34.3%)은 가정이나 의료기관에서 해외 유입 환자와 접촉해 감염된 경우다.
해외 감염자 23명 중 22명은 베트남, 다른 1명은 우즈베키스탄 여행 중 감염됐다.
질병청은 “전체 35명 중 25명(71.4%)은 19세 이상 성인이고 23명(65.7%)은 홍역 백신 접종력이 없거나 모르는 경우”라고 전했다.
2급 법정 감염병인 홍역은 기침 또는 재채기로 형성된 에어로졸로 공기 전파가 가능해 전염성이 매우 강하다.
감염 시 발열·발진과 함께 구강 내 회백색 반점 등이 나타나며, 면역이 없는 사람이 환자와 접촉 시 90% 이상 감염될 수 있다
질병청은 당분간 국내에서도 해외 유입에 의한 홍역 발생이 지속될 것으로 예상된다며 홍역 유행 국가 방문을 계획 중인 경우 반드시 백신 접종력을 확인해 접종을 완료할 것을 권고했다.
예방접종 후 면역 형성까지는 보통 2주가 걸린다.
귀국 시에 발열이나 발진이 있다면 입국장 검역관에게 건강 상태를 신고해야 한다.
지영미 질병청장은 “여행 전 홍역 백신(MMR) 2회 접종을 완료했는지 확인하고 2회 접종을 완료하지 않았거나 접종 여부가 불확실한 경우 출국 최소 6주 전부터 2회 접종(최소 4주 간격)을 완료할 것”을 강조했다.
이어 “해외여행 이후 발열을 동반한 기침, 콧물, 결막염 또는 발진 증상을 보인다면 바로 의료기관을 방문해 해외 여행력을 알리고 진료를 받을 것”을 권고하며 의료기관에도 적극적인 검사와 신고를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