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데일리 장병호 기자] 문화체육관광부(문체부)는 부산문화재단과 함께 한국과 일본 국교 정상화 60주년을 기념해 서울 경희궁을 시작으로 부산과 일본 오사카, 요코하마 등을 거쳐 도쿄까지 양국의 ‘성신교린’ 상징인 조선통신사 행렬을 재현한다고 22일 밝혔다.
![]() |
주오사카한국문화원 전통공예 전시. (사진=문체부) |
첫 번째 재현행사는 24일 오후 3시 경희궁에서 열린다. 무용단 공연을 시작으로 삼사 임명식과 취타대, 풍물패 공연으로 조선통신사 행렬을 약식으로 재현한다. 뮤지컬배우 남경주가 왕 역할을 한다. 신오쿠보역 의인 고(故) 이수현 씨의 어머니가 정사 역할로 참여해 행사의 의미를 더한다.
이어 25일부터 27일까지 부산에서 거리공연, 드론쇼 등과 함께 조선통신사 행렬을 재현한다. 부산에서 출항한 조선통신사선은 오사카까지 실제 이동한 경로를 따라 선상 박물관 전시와 공연을 펼친다.
5월 13일 오사카 엑스포 한국의 날에는 인근 선착장에서 입항 기념식과 공연을 펼치고 엑스포 공식 행진과 함께 조선통신사 행렬을 재현한다. 7월에는 부산국립국악원이 요코하마에서 통신사의 여정을 그리는 창작 무용극 ‘유마도’를 공연한다.
조선통신사 행렬의 마지막 여정은 도쿄에서 장식한다. 9월 말 도쿄에서 현지 어린이 참가자를 포함한 210여 명이 함께 대규모로 행렬을 재현하고 ‘한일문화 콘퍼런스’와 문화예술행사 등을 진행한다.
조선통신사 관련 전시도 열린다. 서울역사박물관에서는 24일 개막식을 시작으로 25일부터 6월 29일까지 ‘조선시대 통신사 특별전-마음의 사귐, 여운이 물결처럼’을 개최한다. 일본 에도도쿄박물관과 오사카 역사박물관, 국사편찬위원회의 특별협력으로 양국이 소장하고 있는 통신사 행렬도와 필담창화집 등 유물 128점을 전시한다.
국립국악원, 국립중앙박물관, 국립현대미술관, 국립무형유산원 등 국내 국공립 기관과 함께 한일 국교 정상화 60주년을 기념한 문화교류 행사도 연중 이어간다. 지난 3월에는 주일한국문화원에서 한복, 한식, 한지 등 한국의 전통문화를 종합적으로 체험할 수 있는 전시와 토론회를, 19일 도쿄에서는 한국의 무형문화재인 종묘제례악과 일본의 무형문화재 구미오도리의 합동 공연을 개최했다.
한일 클래식 예술가들의 갈라 콘서트(6월 17일 도쿄), 국립무형유산원이 무형문화유산인 ‘선자장(부채)’과 ‘나전장’의 공예작업을 공연으로 제작한 작업 무용극(6월 28 일오사카), 발달장애인으로 구성된 관현악단 ‘하트하트 오케스트라’와 현지 마림바 연주자의 협연(8월 26일, 오사카)도 준비되어 있다.
양국의 국립박물관(국립중앙박물관과 도쿄국립박물관)은 대표 소장품을 통해 서로의 문화를 선보이는 교환전시를 개최(2025년 6~8월 국립중앙박물관, 2026년 2~4월 도쿄국립박물관)할 예정이다. 국립현대미술관과 요코하마미술관도 한일 현대미술전(12월) 개최를 계획하고 있다. 여행지로서의 한국의 매력을 알리는 ‘K-관광 로드쇼’는 아오모리, 후쿠오카, 히로시마, 도쿄에 이어 삿포로(5월 17~18일)에서도 개최한다. 민간·청소년 간 교류도 추진한다.
윤양수 문체부 국제문화홍보정책실장은 “조선통신사는 양국 간 외교적 신뢰와 문화교류의 상징이었다”며 “한일 국교 정상화 60주년을 맞아 그 역사적 의미를 되새기고, 미래로 이어질 새로운 협력의 길을 열어가길 바란다”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