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곤해요" 성기능 장애 어쩌나…'남성 갱년기' 해결책은?

1 day ago 5

국내 남성 갱년기 환자 치료를 돕기 위한 맞춤형 가이드라인이 공개됐다. 남성 성선기능저하증으로 불리는 남성 갱년기는 남성 호르몬인 테스토스테론이 일정 수치 이하로 떨어져 피로, 우울감, 근육량 감소 등을 유발하는 질환이다. 단순한 노화로 여기지 말고 병원을 찾아 제때 치료받아야 한다고 의료진은 권고했다.

"피곤해요" 성기능 장애 어쩌나…'남성 갱년기' 해결책은?

9일 대한남성건강갱년기학회에 따르면 최근 한국형 남성 성선기능저하증 진단과 치료를 위한 표준 지침이 국제학술지 ‘세계남성건강저널’(World Journal of Men’s Health)에 실렸다. 새 한국형 지침이 마련된 것은 2007년 이후 18년 만이라고 학회 측은 설명했다. 대한남성과학회와 대한가정의학회, 대한내분비학회 등도 지침 작성에 참여했다.

이번 지침에서 학회는 기능성 남성 성선기능저하증을 비만, 대사증후군, 만성질환 때문에 남성 호르몬 수치가 줄어드는 상태로 명확히 정의했다. 과거엔 남성 성선기능저하는 유전적 요인이나 종양, 고환 이상 등 구조적 요인으로 생기는 게 대부분이었다. 하지만 만성질환이나 생활습관에 따라 성 기능이 떨어지는 환자가 생기기 시작했고 이를 ‘기능성 환자’로 분류해 치료 대상에 포함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졌다. 당뇨, 고지혈증, 비만은 물론 수면 부족, 심혈관계 질환 등도 성선기능저하증에 영향을 줄 수 있다. 과도한 음주와 흡연, 스트레스도 마찬가지다. 정윤석 아주대병원 내분비대사내과 교수는 “남성 호르몬 결핍은 남성 건강 전반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문제지만 국내 치료 기준이 명확하게 정립되지 않아 많은 혼선이 있었다”고 새 지침 제정의 의미를 설명했다.

이번 지침을 통해 학회는 국제 치료 기준과 한국형 가이드라인을 함께 제시했다. 한국인 연구 결과에만 맞춰 진료하면 국제 표준 지침보다 치료 대상이 과도하게 줄어들 것이라는 우려의 목소리를 반영했다. 기존 국제 치료 기준처럼 총 테스토스테론 수치가 3.5ng/mL 미만이면서 성기능 장애 등이 있을 때 치료 대상이 된다고 권고했다. 한국인 대상 연구 결과 등을 토대로 좀 더 보수적으로 본다면 총 테스토스테론 수치가 2.6ng/mL 이하일 때 해당한다고 덧붙였다. 국내 남성 하위 2.5% 수치다.

일반적으로 남성은 30세 이후부터 남성 호르몬이 점차 감소한다. 남성 갱년기는 여성 갱년기처럼 증상이 서서히 진행돼 자연스러운 노화로 오인하는 사례가 많다. 대표 증상은 성욕 감퇴, 발기부전 등 성 기능 이상이다. 우울증, 분노 등 정신적 증상도 호소한다. 근력과 근육량 감소, 내장 지방 증가도 흔하다. 만성피로, 불면증 등을 동반하기도 한다. 이런 증상을 호소하는 환자의 테스토스테론 수치가 기준치 이하라면 호르몬 주입 치료를 한다. 테스토스테론 치료를 하면 성욕과 성생활 개선에 도움이 된다.

"피곤해요" 성기능 장애 어쩌나…'남성 갱년기' 해결책은?

2017년께엔 국제 의학계에서 테스토스테론 치료를 하면 심혈관 질환 위험이 높아질 수 있어 위험하다는 지적이 나왔다. 하지만 이후 대규모 연구가 이뤄졌고 심혈관계 합병증과 테스토스테론 치료는 관련이 없다고 결론 내렸다. 테스토스테론 수치가 ‘높으면 무조건 좋다’는 잘못된 오해도 바로잡아야 한다고 의료진은 설명했다. 박현준 부산대병원 비뇨의학과 교수는 “테스토스테론 수치가 9인 사람이 6인 사람보다 1.5배 건강하다고 보긴 어렵다”며 “테스토스테론 수치는 평생 적절한 수치를 유지하는 게 중요하다”고 했다.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