폐쇄적인 한국의 건축 비평이 문턱을 낮추고 대중과의 소통을 시도한다. ‘건축계의 노벨상’이라고 불리는 프리츠커상 수상자가 나올 수 있을지 관심이 쏠린다.
서울건축포럼은 오는 28일 서울 세종대로 정림건축종합건축사사무소 김정철홀에서 아파랏체와 아크로마키 두 신진 건축가 그룹의 작업에 대한 비평을 진행한다고 18일 밝혔다. 서울시 공공건축가로 구성된 서울건축포럼은 분기마다 기성 건축가 비평과 주제 비평(신진 건축가 발굴)을 번갈아 하며 총 30팀의 작업을 다룰 예정이다.
이번 세미나는 ‘건축 비평의 알리바이’와 ‘변신의 문제’를 주제로 열린다. 비평가들은 아파랏체와 아크로마키 두 그룹의 건축을 사전 답사하고, 작업 포트폴리오와 해설을 바탕으로 비평에 나설 계획이다.
손주형 기자 handbr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