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분노의 전화 … 아마존, 가격표 관세 표기하려다 철회

5 days ago 5

뉴스 요약쏙

AI 요약은 OpenAI의 최신 기술을 활용해 핵심 내용을 빠르고 정확하게 제공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려면 기사 본문을 함께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아마존은 일부 상품의 가격에 관세 영향을 추가로 표시하는 방안을 검토하다가 트럼프 행정부의 강한 반발로 이를 철회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아마존 창립자 제프 베이조스에게 직접 불만을 표명했으며, 백악관은 아마존의 계획을 "적대적이고 정치적인 행위"라고 비난했다.

이번 논란은 트럼프 대통령과 베이조스 사이의 새로운 갈등 신호로 해석될 수 있다.

회원용

핵심 요약쏙은 회원용 콘텐츠입니다.

매일경제 최신 뉴스를 요약해서 빠르게 읽을 수 있습니다.

글로벌 전자상거래 업체 아마존이 일부 상품 가격에 관세 영향으로 추가된 금액을 별도로 표시하는 방안을 검토했다가 철회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가 공개적으로 아마존 계획을 거세게 비난한 데 따른 것이다.

29일(현지시간) 미국 CNN 등 외신에 따르면 아마존은 이날 성명을 통해 "초저가 상품 '아마존 홀' 스토어 운영팀이 특정 제품에 수입 비용을 표시하는 방안을 검토했다"면서도 "이는 결코 승인되지 않았고 앞으로도 그럴 것"이라고 밝혔다. 지난해 11월부터 운영에 들어간 아마존 홀은 주로 20달러 이하 초저가 상품을 판매하는 플랫폼이다.

앞서 이날 미국 정치매체 펀치볼뉴스는 정통한 소식통을 인용해 아마존이 일부 상품 가격에 관세 비용을 별도 표기할 것이라고 전했다.

이 같은 사실이 보도된 직후 트럼프 행정부는 압박에 나섰다. CNN은 백악관 고위 관계자 말을 인용해 트럼프 대통령이 직접 제프 베이조스 아마존 창업자에게 전화를 걸어 불만을 표시했다고 보도했다.

하워드 러트닉 미국 상무부 장관도 "관세는 사실상 어떤 가격도 바꾸지 않을 것"이라며 "말도 안 되는 이야기"라고 비난했다. 캐럴라인 레빗 백악관 대변인은 이날 기자회견에서 아마존 계획에 대해 "적대적이고 정치적인 행위"라고 비판했다.

공세가 거세지자 아마존은 성명을 통해 이를 철회했다.

이에 대해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기자들과 만나 "제프 베이조스는 괜찮은 사람"이라며 "문제를 빠르게 해결했다. 그 점을 높이 평가한다"고 밝혔다.

다만 백악관이 아마존에 대해 강도 높게 공개적으로 질타한 점은 트럼프 대통령과 베이조스 창업자 사이 새 갈등을 보여주는 신호일 수 있다고 CNBC는 전했다.

[최현재 기자]

이 기사가 마음에 들었다면, 좋아요를 눌러주세요.

좋아요 0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