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방문으로 불붙은 美-中 사우디 영향력 경쟁

10 hours ago 1

美-사우디 투자 계획 6000억 달러, 中의 300억 달러 크게 웃돌아
“중동 국가 ‘집단 자살’ 아니면 中과 인프라·산업 협력 후퇴 못해”
“걸프 국가들, 강대국간 균형속 전략적 자율성 갖춰”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취임 후 첫 해외 순방으로 사우디아라비아를 방문해 6000억 달러 규모의 투자 계획을 발표하면서 중국과 영향력 경쟁을 벌이고 있다고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가 15일 분석했다.

중국은 사우디 석유구매와 중동 지역에서의 제조업, 인프라 건설 역량 등으로 입지를 구축해 미국에 밀리지 않는 형국이라고 SCMP는 전했다.

상하이 국제학대학 중동연구소 판홍다 교수는 “이것은 미국과 사우디아라비아 관계의 규모와 범위 측면에서 모두 이정표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트럼프 2기 행정부에서는 걸프 국가들과의 관계가 더욱 강화될 것이며, 중동 전체에 대한 미국의 영향력도 커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국영 방송 알 에크바리에 따르면, 무기 판매, 인공지능, 에너지 협력, 인프라를 아우르는 광범위한 투자 협정은 시진핑 주석이 2022년 방문했을 당시 체결한 협정보다 규모가 훨씬 컸다. 당시 거래 규모는 총 300억 달러 가량이었다.

중국-중동 관계 분야의 미국 학자 제시 마크스는 이번 방문은 걸프협력위원회(GCC)가 여전히 미국과의 관계를 매우 중시하고 있는 것을 보여준다”고 말했다.

미국과 사우디가 맺은 6000억 달러 규모의 투자 계약은 4년 동안 이행될 예정이며, 1420억 달러 규모의 방위 협정이 주도하고 그 다음으로는 첨단 기술과 인프라 관련 투자가 이어질 예정이다. 그러나 분석가들은 미국이 제시한 금액은 GCC에서 가장 큰 경제 규모를 가진 사우디아라비아에 대한 투자를 보장한 것이 아니라 약속한 것에 불과하다고 지적했다.

분석가들은 중동에서의 미중 경쟁은 장기전으로 미국과 거액의 거래가 체결됐다고 사우디나 다른 걸프 국가들이 막대한 투자를 해온 중국으로부터 등을 돌리는 신호는 아니라고 말했다.

스웨덴 일대일로 연구소 후세인 아스카리에 따르면 걸프 국가들이 ‘집단 자살’을 원하지 않는 한 중국의 인프라와 산업 협력은 후퇴할 수 없다고 말했다.

중국은 중동산 원유의 최대 소비국으로 2023년 이란, 이스라엘, GCC로부터 1860억 달러 상당의 원유를 구매했다. 중국의 기계 및 부품 주도의 수출은 1380억 달러를 넘어섰다.

판 교수는 “중국은 여전히 거래 제품의 가격이나 범위와 깊이 등에서 강점을 가지고 있다”며 “미국은 중국의 제조 역량과 전문성을 따라잡지 못하고 있다”고 말했다.

걸프 지역 국가들은 강대국간 균형을 맞추고 서로 대립시키는데 능숙해 중국과 협력할 수 있는 충분한 여지를 제공하고 있다고 판 교수는 분석했다.

아스카리는 “사우디와 아랍인들을 자신들의 운명을 스스로 결정할 수 없는 미성년자로 여기는 것을 멈춰야 한다”며 “걸프 국가들은 역사적으로 안보를 위해 미국에 지나치게 의존해 왔지만 세상은 변했다”고 말했다.

판 교수도 이러한 평가에 동의하며 “걸프 지역에서 전략적 자율성과 외교적 다원주의를 지향하는 추세가 대체로 확립됐다”고 말했다.

사우디 국영 기업인 휴메인은 미국에 공개되지 않은 금액을 투자할 것이라고 발표했고, 기술 거대 기업인 엔비디아, AMD, 구글은 양국 이니셔티브에 참여하겠다고 약속했다.

이런 가운데 사우디아라비아와 다른 걸프 국가들은 많은 서방 국가들이 외면하는 5G 통신부터 AI까지 중국의 최첨단 기술을 신중하게 환영하고 있다.

예를 들어, 서방에서 의심을 받는 중국의 유명 통신 회사인 화웨이 테크놀로지스는 스마트 시티 개발 및 5G 네트워크를 포함해 사우디아라비아의 디지털 백본을 구축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했다.

지난해 UAE 대통령 셰이크 모하메드 빈 자이드 알 나흐얀이 중국을 방문해 시진핑 주석을 만나 하이테크 협력을 지속하기로 했다.

미국은 걸프 지역의 AI 기업들에게 중국과의 관계를 줄이라고 경고했으며, 2022년에는 미국의 기술 이전 제한을 이유로 중국의 달 탐사에 대한 UAE의 참여 계획을 중단시키기도 했다.

마크스는 “사우디가 미국에서만 조달할 수 있는 마이크로칩이나 방위 물자 같은 민감한 기술에 접근하는 것을 포함해 일부 민감한 영역이 여전히 논의 대상”이라며 “이러한 장벽은 중국의 접근을 막기 위한 것”이라고 말했다.

분석가들은 이 같은 기술에 대한 경쟁이 마찰을 불러일으킬 수 있다고 덧붙였다.

아메리칸대 존 칼라브레세 교수는 “두 강대국의 영향력 확대는 제로섬 게임과는 거리가 멀다”며 “많은 경우 특히 에너지와 방위 분야에서 두 나라가 각기 다른 영향력을 누리고 있다”고 말했다.

[서울=뉴시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지금 뜨는 뉴스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