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부 당국자는 16일 기자들과 만나 “북한이탈주민 중에 ‘이탈’이란 용어가 주는 부정적 어감에 대한 이야기가 많아 탈북민의 안정적 정착과 사회통합을 위한 명칭 변경을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다.
관련 용역을 수행 중인 북한이탈주민학회는 북향민 용어를 포함해 다양한 명칭을 살펴보고 있다. 통일부는 탈북민 사회 의견 수렴 및 국립국어원 자문 등을 거쳐 연말까지 새 용어를 선정할 예정이다.
통일부는 ‘북한이탈주민’이라는 법률용어 변경 가능성도 열어놓고 있다. 이를 위해서는 ‘북한이탈주민의 보호 및 정착에 관한 법률’ 개정이 필요하다.당국자는 “사회적 용어로서의 명칭과 함께, 법률 용어 변경 필요성을 모두 포함하여 현실적으로 가능한 방안을 검토해 나갈 것”이라고 했다.
탈북민들이 북한이탈주민 용어에 부정적 인식을 갖고 있다는 지적은 꾸준히 있어왔다. 지난해 7월 통일연구원이 공개한 조사 결과에 따르면 탈북민에게 북한이탈주민 명칭 변경 필요성이 필요한지 물은 결과 ‘바뀌어야 한다’는 응답이 58.9%로 나타났다.
이번 용어 변경 추진에는 정동영 장관의 의지가 반영됐다. 통일부는 정 장관의 첫 통일부 장관 재임 시절인 2004년에도 탈북민을 지칭하는 새 용어 ‘새터민’을 채택한 바 있다. 당시 새터민 용어를 둘러싼 탈북민 사회 반발이 거셌으며, 현재는 사용되지 않고 있다.[서울=뉴시스]- 좋아요 0개
- 슬퍼요 0개
- 화나요 0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