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문수 “청년이 손해보는 국민연금, 다시 개혁해야”
홍준표 “헌법재판소 폐지하고 선관위 구조 개편”
한동훈 “AI 3대 강국, 국민소득 4만달러, 중산층 70%”
6·3 대선을 앞두고 보수 진영의 대선주자들이 청년 정책과 경제 정책 등을 잇달아 내놓으면서 정책 경쟁에 돌입했다. 김문수 전 고용노동부 장관은 15일 청년 선거대책본부를 공식 출범했고, 홍준표 전 대구시장은 4년 중임제와 국회 양원제를 도입하고 헌법재판소를 폐지하겠다고 밝혔다. 한동훈 전 대표는 중도층 유권자를 겨냥해 ‘성장하는 중산층’ 공약을 제시했다. 김 전 장관은 이날 서울 여의도 대하빌딩에 차려진 대선 경선 캠프에 청년 선거대책본부를 공식 출범시키고, 청년 목소리를 반영한 연금개혁 추진 등 청년 정책 발굴을 약속했다. 김 전 장관은 “(여야가 합의한) 국민연금이 청년은 손해 보는 설계로 잘못된 것 아니냐는 점에 공감한다”며 “지속가능한 국민연금을 만들기 위해 제2차 국민연금 개혁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도대체 일할 만한 자리가 없다”며 “우리 기업 투자를 더 늘리고 일자리를 늘리고 높은 과학기술에 의한 일자리를 만들어서 전 세계 일자리로 성공적으로 취업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했다.
홍 전 시장은 이날 여의도 대하빌딩에 위치한 캠프 사무실에서 ‘국가 대개혁 100+1’ 비전 중 정치부문의 비전 18가지를 발표했다. 홍 전 시장은 4년 중임제와 국회 양원제를 도입하고 이를 포함한 개헌을 대개혁 과제로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또 선거관리위원회를 전면 구조개편하고 공정선거 시스템을 구축해 선거에 대한 신뢰를 회복하겠다고 밝혔다.
한 전 대표는 이날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성장하는 중산층’을 핵심 공약으로 제시하고 ‘인공지능(AI) 3대 강국·국민소득 4만 달러·중산층 70%’라는 ‘3·4·7’ 비전을 제시했다. AI 3대 강국으로 도약하기 위해서는 AI 인프라에 5년간 150조원을 투자하고, 생태계 조성까지 포함해 총 200조원의 투자가 필요하다는 것이다. 조세 정책에서는 부양가족 인적공제의 기본공제를 현행 150만원에서 200만원으로 늘리고, 자녀 기본공제는 첫째 250만원, 둘째 300만원, 셋째 이상은 400만원으로 확대하겠다고 밝혔다.
안철수 의원은 앞서 13일 “과거의 법률가가 아닌 미래를 이해하는 과학자, 경제인이 나라를 이끌어야 할 시대”라며 10대 대선 공약을 발표한 바 있다. 안 의원은 AI·미래 모빌리티·바이오·K-서비스 산업을 ‘5대 전략산업’으로 육성해 AI 세계 3대 강국으로 진입해야 한다는 구상을 제기했다. 또 국내총생산(GDP) 대비 연구·개발(R&D) 투자 비중을 5%까지 증액하겠다고 했다.
대선 주자들은 당내 경선 일정이 다가오면서 현장 행보와 정책 제시를 동시에 펼치고 있다. 국민의힘 관계자는 “단기간에 정책적 역량을 증명해야 하는 상황에서 ‘키워드’를 중심으로 정책들을 내놓고 있는 상황”이라며 “‘탄핵 찬반’보다 공약에 집중할 수 있도록 분위기 전환을 위한 것도 있다”고 전했다.
최혜령 기자 herstory@donga.com
- 좋아요 0개
- 슬퍼요 0개
- 화나요 0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