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타 탈락했던 강북횡단선도
종로구, 주민서명 받아 재추진
공사비 문제로 멈췄던 GTX-C
“추경 편성해달라” 청원 올라와
한남뉴타운서도 역 신설 요구
대선을 앞두고 서울과 수도권 각지에서 교통망 개선 요구가 잇따르고 있다. 각 정당이 한 표라도 더 얻기 위해 교통망 신설과 연장 공약을 잇달아 내놓을 것으로 예상되자 주민들이 집값에 직결되는 철도 인프라 요구에 나선 분위기다. 하지만 전문가들은 “공약은 공약일 뿐 실제 실현 가능성을 꼼꼼히 따져봐야 한다”고 조언한다.
18일 부동산업계에 따르면 종로구청은 최근 강북횡단선 재추진을 위한 주민 서명부를 기획재정부에 전달하기로 했다.
부암·평창동 주민 6700명과 상명대 학생 1357명 등 총 3만3763명이 서명에 참여했다. 강북횡단선은 서울 내 7개 자치구를 관통하는 경전철 노선이다. 목동역에서 출발해 디지털미디어시티, 길음 등을 거쳐 청량리까지 이어지는 총길이 25.72㎞ 노선이다.
앞서 이 노선은 사업비 2조원 규모의 서울시 사업으로 계획됐다. 하지만 작년 6월 기재부 예비타당성조사 심의에서 경제성이 낮다는 이유로 탈락했다.
하지만 종로구는 부암동, 평창동 일대가 대중교통 기반시설이 취약한 철도시설 불모지로, 강북횡단선 재추진이 반드시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구청이 직접 나서 교통망 확충을 요구하는 것은 이례적인데 내년에 실시되는 내년 지방선거를 겨냥한 포석 성격도 있다. 현재 종로구청은 국민의힘 소속 정문헌 구청장이 이끌고 있는데 재선을 노릴 것으로 보인다.
현재 서울시는 ‘제2차 서울시 도시철도망 구축계획(변경) 타당성 재검토 및 종합발전방안 연구용역’을 서울연구원을 통해 진행 중인데 강북횡단선과 목동선에 대한 재검토 연구가 포함된 것으로 확인됐다.
서울시 관계자는 “강북횡단선의 경우 기존 노후화된 계획의 현행화를 넘어 기존의 노선 계획, 교통 수요 등을 원점에서 다시 살펴보는 작업이 진행 중”이라고 말했다.
실착공이 미뤄지고 있는 수도권광역급행철도(GTX)의 조속 착공 요구도 거세지고 있다. 지난 10일 국회 국민청원에는 GTX-C노선의 조속한 착공을 위해 추가경정예산 편성을 요구하는 청원이 올라와 노선 통과 일대 주민들의 동의를 얻고 있다.
이 노선은 공사비 급등으로 시공사인 현대건설 컨소시엄이 실착공계를 제출하지 못해 착공이 차일피일 미뤄지고 있다.
청원인은 “GTX-C노선 사업이 표류하는 이유는 여러 가지가 있지만, 대표적으로 기재부의 ‘총사업비 조정 특례’ 제외가 꼽히고 있다”며 “국토교통부는 GTX-C노선에 대해서도 총사업비 대비 4.4% 이내의 금액을 반영하도록 하는 이 특례를 적용해줄 것을 요청했지만, 기재부는 이미 협약이 완료된 사업이어서 적용을 거부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GTX-C노선 실착공을 위해 2025년 추가경정예산에 공사비를 편성해줄 것으로 청원한다”고 덧붙였다.
GTX-C노선은 의정부에서 창동, 청량리, 삼성, 인덕원 등을 거쳐 수원으로 이어진다. 최근 강남권을 중심으로 집값이 급등하고 있지만, 서울 동북권인 노도강(노원·도봉·강북) 지역은 주줌한 상태여서 주민들의 교통망 개선 요구가 더 거세지고 있다.
서울 용산구 보광동 일대 한남 2·3·4구역 조합은 ‘황금 노선’으로 불리는 신분당선 연장과 관련해 한남뉴타운 인근에 역 신설을 요구하고 나섰다. 현재 신사역까지 연장이 완료된 신분당선은 2단계 연장을 통해 동빙고, 국립중앙박물관을 거쳐 용산까지 이어질 예정이다.
착공을 위한 현장 조사가 지난해 미 대사관 숙소 이전으로 가시화되며 사업에 속도가 붙을 것으로 예상된다. 주민들은 약 1만1000가구가 들어설 한남뉴타운 인근에 신분당선 신설이 꼭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다만 교통망 개선은 선거철마다 공수표처럼 던져지는 공약인 만큼 실현 가능성은 잘 따져봐야 한다는 게 전문가들 의견이다.
고종완 한국자산관리연구원장은 “공사비 인상에 따라 기존에 참여 의사를 밝힌 건설사들도 탈퇴를 선언하는 만큼 공약만 믿고 투자하면 낭패를 볼 수 있다”고 조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