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갑게 식은 경제에 이창용, 결단 내렸다

3 weeks ago 4

뉴스 요약쏙

AI 요약은 본문의 핵심만 제공하므로,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기사 본문 전체를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한국은행이 11월 28일 개최된 통화정책방향 결정회의에서 기준금리를 연 3.25%에서 3.00%로 0.25% 포인트 인하했다. 이는 지난 10월에 이어 두 달 연속 단행된 조치로, 2009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처음이다. 이번 금리 인하는 미국 대선 결과 및 국내 경제 침체 우려 등 대내외 여건 변화에 따른 것으로 보인다.

또한, 한국은행은 2023년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기존 2.1%에서 1.9%로 하향 조정하며, 현재 경제 상황이 매우 어렵다는 점을 강조했다. 특히, 수출 부진과 양극화, 소비 둔화 등이 심각한 문제로 지적되고 있다. 건설, 도소매업 등 일부 산업에서는 일자리 감소와 소득 격차 확대 등의 문제도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한국은행은 적극적인 통화정책을 통해 경제 회복을 지원하고자 노력하고 있으며, 앞으로도 국내외 경제 상황 변화에 따라 적절한 대응을 해 나갈 것으로 예상된다.

회원용

핵심 요약쏙은 회원용 콘텐츠입니다.

매일경제 최신 뉴스를 요약해서 빠르게 읽을 수 있습니다.

금리 두달연속 인하는 글로벌 금융위기 후 처음
기준금리 3.25% → 3% 인하

◆ 한은 2연속 금리인하 ◆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28일 서울 중구 한국은행에서 열린 통화정책방향 기자간담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이날 한은 금융통화위원회는 기준금리를 0.25%포인트 내리며 두 달 연속 인하했다. 극심한 경기 부진을 감안해 올해와 내년 성장률 전망치도 끌어내렸다.  사진공동취재단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28일 서울 중구 한국은행에서 열린 통화정책방향 기자간담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이날 한은 금융통화위원회는 기준금리를 0.25%포인트 내리며 두 달 연속 인하했다. 극심한 경기 부진을 감안해 올해와 내년 성장률 전망치도 끌어내렸다. 사진공동취재단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가 28일 서울 중구 한국은행 본관에서 올해 마지막 통화정책방향 결정회의를 열고 기준금리를 기존 연 3.25%에서 3.00%로 0.25%포인트 전격 인하했다. 지난달 3년2개월 만에 금리를 내리며 통화정책을 전환한 지 한 달 만이다. 한은이 두 달 연속 기준금리를 인하한 것은 2009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15년9개월 만이다.

도널드 트럼프 시대를 앞두고 수출기업들이 실적 악화뿐만 아니라 유동성 위기에 직면할 수 있다는 우려가 있는 상황에서 선제적으로 금리를 낮춰 경제에 활력을 불어넣겠다는 움직임으로 풀이된다.

이번 금통위를 앞두고 시장에서는 금리 동결을 예상하는 시각이 우세했다. 2개월 연속 인하는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한 번도 없었던 경기 대응책인 데다 지난달 금통위원 6명 중 5명이 향후 3개월간 금리 동결이 바람직하다는 의견을 냈기 때문이다.

이창용 한은 총재는 회의 직후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미국 선거에서 (공화당이 행정부와 상·하원을 장악한) 레드 스위프라는 새로운 뉴스가 들어온 만큼 포워드 가이던스(3개월 통화정책 전망) 변화가 불가피했다"며 "과거와 같은 패턴으로 한은이 결정한다는 생각은 바꿔달라"고 말했다. 현 경제 상황이 비상 국면이라는 인식을 드러낸 것이다.

한은의 위기의식은 내년 경제성장률 전망치 조정에 반영됐다. 한은은 올해 성장률 전망치를 기존 2.4%에서 2.2%로, 내년은 2.1%에서 1.9%로 하향 조정했다. 2026년 성장률은 1.8%를 제시했다.

이 총재는 "3분기 수출 물량이 크게 줄었는데, 일시적인 요인보다는 경쟁 심화 등 구조적 요인이 크다고 판단했다"며 "수출 불확실성과 성장 전망 조정은 새로운 정보이고 굉장히 큰 변화"라고 평가했다.

수출 외에도 양극화, 소비 둔화 등 여러 문제점이 수면으로 드러났다. 통계청에 따르면 3분기 가계소득은 전년 동기 대비 4.4% 늘었지만 소비는 3.5% 증가에 그쳤다. 가처분소득에서 주거비, 식료품비 등에 쓴 소비지출 비중은 69.4%로 2022년 4분기 69.1% 이후 7개 분기 만에 60%대에 재진입했다. 경기 불안에 국민이 버는 것보다 덜 썼다는 뜻이다.

건설, 도소매업 일자리가 줄어들면서 소득 격차는 더 확대됐다. 소득 하위 20% 대비 상위 20%가 얼마나 더 버는지 나타내는 5분위 배율은 3분기에 5.69배를 기록해 지난해 3분기 5.55배보다 악화됐다.

[오수현 기자 / 문지웅 기자]

이 기사가 마음에 들었다면, 좋아요를 눌러주세요.

좋아요 0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