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장인 10명 중 4명 “일터, 성소수자·이주노동자 등에 안전하지 않아”
직장갑질119 “차별 금지법, 차기 대통령이 완수할 최소한의 과제”
직장갑질119는 11일 ‘한국 사회 및 직장 내 사회적 약자 안전 정도’ 설문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조사는 여론조사 전문기관 ‘글로벌리서치’에 의뢰해 지난 2월 10일부터 17일까지 전국 만 19세 이상 직장인 1000명을 대상으로 진행했다.
이에 따르면 응답자 48.9%는 한국 사회가 사회적 약자에게 안전하지 않다고 답했다.
우리 사회가 사회적 약자에게 안전하지 않다는 응답은 여성(66.9%)이 남성(34.4%)보다 두 배 가까이 높게 나타났다. 비정규직 여성의 ‘안전하지 않다’ 응답은 70.1%에 달했다.또한 비조합원일수록, 회사 규모가 작고, 직급과 급여가 낮을수록 우리 사회가 사회적 약자에게 안전하지 않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직장인 10명 중 4명은 자신의 일터가 성소수자, 이주노동자, 북한 이탈주민에게 안전한 공간이 아니라고 생각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일터가 장애인에게 안전하지 않다’ 응답이 54%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성소수자(41.7%), 이주노동자(41.8%), 북한이탈주민(38.4%)의 경우 4명 중 1명꼴로 ‘안전하지 않다’는 응답이 나왔다.
응답자 특성별로 살펴보면 여성 응답자들의 ‘일터가 소수자에게 안전하지 않다’는 응답은 모든 설문에서 남성 응답자보다 10%포인트(p) 이상 높게 나타났다.직장갑질119 박은하 노무사는 “국제질병분류 상 동성애가 정신장애가 아니라 명시한 지 35년이 지났음에도 우리 사회에서 성소수자에 대한 혐오와 차별은 만연하다”며 “성소수자를 품지 못하는 사회가 다른 소수자라고 달리 대할 리는 없으며, 사회의 축소판인 직장 역시 마찬가지”라고 말했다.박 노무사는 “살고 있는 사회가, 다니는 직장이 안전하다는 것은 인식하기 어렵지만 일종의 특권”이라며 “차별금지법은 안전하게 살아갈 권리, 안전하게 일할 권리를 특권이 아닌 보편적 권리로 만들기 위한 시작점이자 차기 대통령이 완수해야 할 최소한의 과제”라고 말했다.
(서울=뉴스1)
- 좋아요 0개
- 슬퍼요 0개
- 화나요 0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