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장인 48.9% “한국 사회, 사회적 약자에 안전하지 않아”

19 hours ago 1

직장인 10명 중 4명 “일터, 성소수자·이주노동자 등에 안전하지 않아”
직장갑질119 “차별 금지법, 차기 대통령이 완수할 최소한의 과제”

ⓒ News1 DB

ⓒ News1 DB
직장인의 절반은 한국 사회가 사회적 약자에게 안전하지 않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장갑질119는 11일 ‘한국 사회 및 직장 내 사회적 약자 안전 정도’ 설문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조사는 여론조사 전문기관 ‘글로벌리서치’에 의뢰해 지난 2월 10일부터 17일까지 전국 만 19세 이상 직장인 1000명을 대상으로 진행했다.

이에 따르면 응답자 48.9%는 한국 사회가 사회적 약자에게 안전하지 않다고 답했다.

우리 사회가 사회적 약자에게 안전하지 않다는 응답은 여성(66.9%)이 남성(34.4%)보다 두 배 가까이 높게 나타났다. 비정규직 여성의 ‘안전하지 않다’ 응답은 70.1%에 달했다.

또한 비조합원일수록, 회사 규모가 작고, 직급과 급여가 낮을수록 우리 사회가 사회적 약자에게 안전하지 않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직장인 10명 중 4명은 자신의 일터가 성소수자, 이주노동자, 북한 이탈주민에게 안전한 공간이 아니라고 생각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일터가 장애인에게 안전하지 않다’ 응답이 54%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성소수자(41.7%), 이주노동자(41.8%), 북한이탈주민(38.4%)의 경우 4명 중 1명꼴로 ‘안전하지 않다’는 응답이 나왔다.

응답자 특성별로 살펴보면 여성 응답자들의 ‘일터가 소수자에게 안전하지 않다’는 응답은 모든 설문에서 남성 응답자보다 10%포인트(p) 이상 높게 나타났다.직장갑질119 박은하 노무사는 “국제질병분류 상 동성애가 정신장애가 아니라 명시한 지 35년이 지났음에도 우리 사회에서 성소수자에 대한 혐오와 차별은 만연하다”며 “성소수자를 품지 못하는 사회가 다른 소수자라고 달리 대할 리는 없으며, 사회의 축소판인 직장 역시 마찬가지”라고 말했다.

박 노무사는 “살고 있는 사회가, 다니는 직장이 안전하다는 것은 인식하기 어렵지만 일종의 특권”이라며 “차별금지법은 안전하게 살아갈 권리, 안전하게 일할 권리를 특권이 아닌 보편적 권리로 만들기 위한 시작점이자 차기 대통령이 완수해야 할 최소한의 과제”라고 말했다.

(서울=뉴스1)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지금 뜨는 뉴스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