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는 로고가 자존심인데”…글로벌 車업계, 다 빼고 ‘중국 취향’ 맞춘다

6 hours ago 2

뉴스 요약쏙

AI 요약은 OpenAI의 최신 기술을 활용해 핵심 내용을 빠르고 정확하게 제공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려면 기사 본문을 함께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글로벌 완성차 업체들이 중국 시장에서의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현지화에 집중하고 있으며, 아우디는 상하이 모터쇼에서 새로운 로고를 공개하고 중국 맞춤형 전기차 모델을 선보였다.

BMW는 중국 스타트업과의 AI 파트너십을 강조하며, 폭스바겐은 AI 기반 자율주행 시스템을 탑재한 신차를 공개했다.

도요타는 지난 60년간의 현지화를 기반으로 중국 전용 전기차 모델을 개발하여 소비자에게 더 나은 서비스를 제공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회원용

핵심 요약쏙은 회원용 콘텐츠입니다.

매일경제 최신 뉴스를 요약해서 빠르게 읽을 수 있습니다.

23일 상하이 모터쇼에서 공개된 아우디 E5 스포트백. [AFP=연합뉴스]

23일 상하이 모터쇼에서 공개된 아우디 E5 스포트백. [AFP=연합뉴스]

글로벌 완성차 업체들이 중국의 ‘전기차 굴기’에 맞서 잇달아 현지화에 공들이고 있다.

수십 년간 브랜드를 상징해온 로고를 없애는가 하면, 중국 소비자들을 겨냥한 ‘맞춤형 전기차’를 속속 출시하고 있다.

독일 아우디는 23일 중국 상하이 국제자동차산업박람회(상하이 모터쇼)에서 중국 시장에 맞춘 전략적 모델 라인업을 선보였다. 4개 링이 얽혀 있는 기존 로고 대신 ‘AUDI’ 알파벳을 사용한 새로운 로고를 적용했다. 자부심이 강한 독일의 프리미엄 브랜드가 기존 로고를 없앤 것을 두고 상당히 파격적이라는 평가가 나온다. 아우디는 과거 중국 고위직 공무원들이 관용차로 자주 이용하면서 그동안 중국에서 ‘부’를 상징했다. 이 때문에 한때 부를 과시하려는 소비자들이 아우디를 선호한다는 얘기가 많았다. 이번 로고 변경은 이 같은 이미지를 벗고 중국 소비자들에게 새롭게 다가가기 위한 전략으로 풀이된다.

이날 행사장에서 올리버 칩세 BMW 최고경영자(CEO)는 올해 말부터 중국 스타트업 딥시크의 인공지능(AI)를 탑재할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AI의 핵심적인 발전이 중국에서 일어나고 있다”며 “BMW는 중국과 AI 파트너십을 강화하고 있다”고 말했다.

새로 공개된 폭스바겐의 ID. 아우라 [AFP=연합뉴스]

새로 공개된 폭스바겐의 ID. 아우라 [AFP=연합뉴스]

폭스바겐도 갈수록 줄어드는 중국 시장 점유율을 다시 끌어올리기 위해 중국 맞춤형 신차를 공개했다. ‘ID. 에라(Era)’ ‘ID. 에보(Evo)’ ‘ID. 아우라(Aura)’ 등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 2종과 세단 1종이다. 이들 차량은 현지 업체 FAW, SAIC 등과 합작해 개발됐으며 모두 AI 기반 자율주행 시스템을 탑재했다.

이날 일본 도요타는 시종일관 중국 현지화를 강조했다.

발표자로 나선 리후이 도요타차이나 총경리는 “도요타는 지난 60년간 현지 주요 파트너들과 협력해 2000만명 이상의 중국 소비자에게 안전한 서비스와 차량을 제공했다”며 “향후 60년 동안에도 현지화 경영을 지속적으로 발전시켜 갈 것”이라고 말했다.

특히 그는 2011년 도요타 창업자 4세인 도요다 아키오 회장이 한 행사에서 ‘중국 엔지니어가 주도해 개발한 차량을 운전할 수 있는 날이 오길 희망한다’고 말한 점을 거론한 뒤 “오늘 그 희망이 현실이 돼 매우 기쁘다”고 전했다. 이날 도요타는 현지 합작사와 개발한 중국 전용 전기차 ‘bz7’ 모델을 공개했다.

이번 행사에 참석하지 않은 현대차는 전날 상하이에서 현지 취재진 등을 대상으로 베이징현대의 첫 번째 중국 전용 전기차인 준중형급 SUV ‘일렉시오(ELEXIO)’를 선보였다. 중국인 디자이너들이 현지 소비자들의 니즈에 맞게 설계했다는 게 현대차 측 설명이다.

이 기사가 마음에 들었다면, 좋아요를 눌러주세요.

좋아요 0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