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이 제일 안전하지”…예측 안되는 트럼프에 美 떠나는 자금 행방은

5 hours ago 2

뉴스 요약쏙

AI 요약은 OpenAI의 최신 기술을 활용해 핵심 내용을 빠르고 정확하게 제공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려면 기사 본문을 함께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으로 불안정해진 미국 금융 시장에서 해외 투자 자금이 일본으로 대규모 유입된 것으로 나타났다.

일본 재무성이 발표한 통계에 따르면, 지난달에는 일본 주식과 채권에 대한 순매수액이 8조2130억 엔에 달해 연간 최대치를 기록했다.

전문가들은 이 유입이 트럼프의 정책에 대한 불신과 일본 자산의 안전성 때문이라고 분석하고 있다.

회원용

핵심 요약쏙은 회원용 콘텐츠입니다.

매일경제 최신 뉴스를 요약해서 빠르게 읽을 수 있습니다.

지난달 외인 8조엔 매수 ‘최대’
작년 경상수지는 30조엔 흑자

엔화와 달러화. [로이터 = 연합뉴스]

엔화와 달러화. [로이터 = 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관세정책으로 혼란스러워진 미국 금융시장을 빠져나간 투자 자금이 대거 일본에 몰려든 것으로 나타났다.

12일 일본 재무성이 발표한 ‘대내외 증권 매매 계약’ 집계에 따르면 지난달 해외 투자자의 일본 주식·채권 순매수액(단기채권 제외)은 8조2130억엔(약 79조원)에 달했다.

이는 관련 통계가 집계되기 시작된 2005년 이후 역대 최대 규모로, 종전 최대인 2023년 4월의 6조엔대를 크게 뛰어넘는 수준이라고 니혼게이자이신문(닛케이)은 전했다.

자산별로는 중장기 국채가 4조5371억엔(약 43조6000억원), 주식 및 투자펀드가 3조6759억엔(약 35조3200억원) 순매수됐다. 채권은 역대 두 번째, 주식은 세 번째로 큰 순매수 규모다.

닛케이는 일본 자산에 해외 투자자 자금이 몰린 주된 이유로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정책에 대한 불신을 지목했다. 트럼프 대통령이 연방준비제도(Fed·연준)를 압박한 것도 미국 금융 시장에 대한 불안감을 키워 투자자금이 일본으로 몰리는 데 영향을 줬다고 덧붙였다.

이나토메 가쓰토시 미쓰이스미토모트러스트자산운용 수석 전략가는 “트럼프 대통령이 오락가락하면서 미국 시장이 혼란스러운 가운데 안전자산으로서 일본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다”고 말했다.

일본 국채는 금리 상승으로 가격 매력이 부각된 데다, 각국 외환 준비금 운용처로 선호도가 높아졌다는 분석도 나왔다. 나오야 하세가와 오카자키증권 수석 채권전략가는 “순매수 규모가 이례적으로 확대된 것을 고려하면 외환보유액 관련 자금이 유입된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고 밝혔다.

이 기사가 마음에 들었다면, 좋아요를 눌러주세요.

좋아요 0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