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엄 사태 이후 불안감 가중
은행 대기자금 616조 달해
◆ 위기의 韓경제 ◆
정치적 불확실성과 금융시장 불안이 가속화하면서 개인과 기업이 묶인 돈을 속속 현금화하고 있다. 연말임에도 불구하고 시중은행 요구불예금 잔액이 늘고 있는 것이다.
13일 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 5대 은행 요구불예금 잔액은 총 616조원으로, 비상계엄이 선포됐던 3일과 비교해 7거래일 만에 16조원이 증가했다.
요구불예금은 보통 월급통장, 연금통장 등으로 활용하는 수시 입출금 예금을 말한다. 유동성에 초점을 맞춘 계좌이기 때문에 이자율이 연 0.1% 안팎으로 낮다. 이자가 없지만 현금과 마찬가지인 요구불예금이 늘어난다는 것은 시장이 불안하다고 느끼는 기업과 개인이 많기 때문이다.
시중은행 관계자는 "일반적으로 연말로 갈수록 요구불예금의 매력이 떨어진다"며 "그럼에도 요구불예금에 큰돈이 묶인다는 건 향후 시장의 방향성이 어떻게 될지 확신하지 못하는 고객이 늘어났다는 것"이라고 말했다. 최근 5대 은행 요구불예금 잔액은 올해 9월 623조원에서 10월 613조원, 11월 608조원으로 줄어들다가 이달 증가세로 돌아섰다.
보통 4분기 이후에는 기업이 연말 대금 결제에 대비하느라 대출을 늘린다. 은행은 대출을 충분히 내주기 위해 고객으로부터의 더 많은 예금을 받으려 노력하는 경향이 있다. 그만큼 상대적으로 금리가 높은 정기예금 상품을 내놓으며 고객을 유인한다. 이러한 상황에도 불구하고 초저금리인 요구불예금에 자금을 묶어두는 수요가 많아지는 것은 이례적이라는 평가다.
'투자 대기성 자금'인 요구불예금이 늘어나는 걸 두고 크게 다양한 해석이 나온다. 하나는 탄핵, 대통령 조기 퇴진 등 여러 시나리오가 여전히 미지수로 남아 있기 때문에 불확실성이 해소될 때까지 기다리려는 기업과 개인이 늘어나고 있다는 것이다.
또 다른 해석은 탄핵 등 수습 방안이 확정됐을 때 주식을 비롯한 자산시장이 급반등하리라 보는 투자자가 다수 존재한다는 것이다.
금융권 관계자는 "일단 계엄 수습책이 확실히 정해진 이후에는 리스크 요인이 제거되면서 주식 등 자산 가치가 오버슈팅(급등)할 것으로 예측하는 투자자들이 관망하는 것"이라고 전했다.
[박창영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