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가 물밀듯 밀려드는 중국산 강판에 최대 25%의 '세이프가드 관세'를 부과할 것으로 보인다고 로이터 통신이 18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인도 정부는 작년에도 중국산 철강재 일부에 반덤핑 관세를 부과했으나 효과가 없었다. 철강부는 이번에 추가로 2년간 평판 강철 제품에 대해 25%의 보호 관세를 제안했다.
전날 피유시 고얄 인도 상공부 장관 주재로 열린 관계기관 회의에서 세이프가드 관세 부과 제안에 대한 공감대가 형성됐다. 세이프가드 관세란 반덤핑 관세와 달리 자국 산업 보호를 위해 불공정 무역이라고 판정하지 않은 경우에도 부과할 수 있다. 특정 품목에 대해 모든 수출국에 일괄 적용하는 등 폭넓게 관세를 부과할 수 있다.
당초 관세 부과를 반대했던 인도 중소 제조업체들이 반대를 철회한 덕분이라고 소식통들이 전했다. 중소 제조업체들은 관세로 인해 철강재 가격이 올라가면 타격을 받게 된다며 관세에 반대했다. 그러나 인도 국내 대형 타타스틸과 JSW스틸 등 자국 철강업체들로부터 저가 제품 공급을 보장받자 입장을 바꾼 것으로 알려졌다.
회의에 참석한 인도엔지니어링수출증진협회(EEPC)의 판카지 찬다 회장은 "연간 약 100만t의 철강 제품을 소비하는 중소 제조업체들이 대형 철강업체 보장으로 시장가보다 약 20% 낮은 수출 원가에 철강 제품을 공급받게 될 것"이라고 전했다.
세이프가드 관세는 인도 상무부 산하 무역규제총국(DGTR)이 현재 진행 중인 중국산 철강 제품 수입에 따른 국내 피해조사가 끝나는 대로 부과될 것으로 보인다. 조사는 한 달 이내에 종결될 것으로 전해졌다. 앞서 인도철강협회(ISA)는 DGTR에 보낸 보고서를 통해 "과잉 생산국과 주요 수출국의 수출 급증이 국내 철강업체의 생존에 중대 위협을 주고 있다"고 강조했다.
중국에 이어 세계 2위의 조강 생산국인 인도 역시 중국산 덤핑에는 속수무책이었다. 인도는 작년 9월에도 중국산 스틸 휠과 용접스테인리스 강관 등에 5년간 반덤핑 관세를 부과했다. 그럼에도 ISA 데이터에 따르면 지난 2분기 인도가 수입한 철강 완제품은 570만t으로 사상 최대를 기록했다. 열연강판, 도금강판, 강판의 경우 중국산을 비롯해 일본·한국산이 동아시아산 제품이 각각 전체의 17%, 20%, 19%를 점유한 것으로 나타났다. 인도 철강 제품의 주요 수입국인 베트남에 대해서도 견제를 시작했다. 인도는 지난 8월 베트남산 강재에 대한 반덤핑 조사에 들어갔다.
한편 중국 철강기업들의 전 세계 시장을 대상으로 한 제품 수출은 올해 급증했다. 지난 11월까지 수출량은 1억115만톤(t)으로 작년 같은 기간보다 22.6% 급증했다. 중국 철강 부문은 최근 낮은 철광석 가격에 혜택을 받고 있다. 중국 철강 기업들은 내수 시장의 최대 철강재 소비처인 주거용 부동산 부문이 침체했음에도 수출로 활로를 열고 있다.
이현일 기자 hiuneal@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