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당 대선 경선 첫 TV토론
李 “증세 바람직안해”
金-金, ‘증세 필요’ 각세워
‘내란죄 사면 금지’엔 한목소리
● 李 “집권 시 일단 용산 쓰고 청와대 신속 보수”
이재명 전 대표는 이날 TV토론회에서 ‘대통령으로 당선되면 대통령 집무를 어디서 할 것인지 검토해봤나’라는 김경수 전 경남지사의 질문에 “(당선되면) 일단 용산 대통령실을 쓰면서 청와대를 신속 보수해 다시 들어가는 게 좋겠다”고 했다. 이 전 대표가 집권 후 용산 대통령실 사용 가능성을 공식 언급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이 전 대표는 “(용산 집무실이) 보안 문제가 매우 심각해서 대책이 있어야 하는 것은 분명하다”면서도 “그렇다고 혈세를 들여서 미리 (대통령실 이전을) 준비할 수도 없다. 장기적으로는 세종으로 가는 게 마지막 종착지가 되지 않을까”라고 했다.
김 전 지사는 “용산 대통령실 외에 청와대나 정부종합청사를 쓸 수 있게 하는 방안이 가장 바람직하다”면서 “집권 초기부터 세종에 대통령 집무실을 반드시 두는 게 맞다”고 했다. 김동연 경기지사는 과거 경제부총리 시절 경험을 언급하면서 “대통령에 취임하면 바로 다음날부터 대통령이 세종에서 근무할 수 있다”고 했다.개헌론을 두고는 김 지사와 이 전 대표가 충돌했다. 김 지사는 지난 대선에서 이 전 대표와 후보 단일화를 하며 개헌과 선거법 개정에 합의한 점을 상기시키면서 “(개헌을 위한) 노력을 보이지 않았다”고 했다. 이 전 대표는 “제가 대통령이 되지 않아서 약속을 지키지 못했다”면서 “선거법 개정은 당시 여당(국민의힘)의 반대가 상당히 심해 단 한 발자국도 나아가지 못 했다”고 했다. 그러자 김 지사는 “대통령에 당선이 안 됐기 때문에 약속을 지키지 못했다는 말에는 공감하기 어렵다”고 맞받았다.
● 내란 종식, 추경 한 목소리…증세 논쟁
다만 증세를 두고는 이 전 대표가 “바람직하지 않다”고 주장한 반면, 김 지사는 “책임 있는 정치인이란 증세까지 말할 수 있어야 한다”고 각을 세웠다. 김 전 지사도 “재정 확대가 필요하다”며 증세 필요성에 대한 공감을 표시했다.
이 전 대표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의 협상 전략을 묻는 김 지사의 질문엔 “트럼프 전략은 ‘광인 작전’이라고 불릴 정도로 과감하다”며 “단일한 의제에 매달리다보면 당하기 쉬워 포괄협상을 해야할 것 같다. 알래스카 액화천연가스(LNG), 조선협약 등 맣은 안건들이 있다”고 했다. 이에 대해 김 지사는 “포괄협상은 상당히 위험부담이 크다“며 ”방위비 분담. 관세 등 오히려 주제를 분리해서 협상해야 한다”고 반박했다.
윤다빈 기자 empty@donga.com
이지운 기자 easy@donga.com
- 좋아요 0개
- 슬퍼요 0개
- 화나요 0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