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상직 변호사의 창의와 혁신] 〈59〉소설을 죽음에서 구한 작가, 보르헤스의 창의 (상)

5 hours ago 2
이상직 법무법인 태평양 변호사('디지털 생활자' 저자)이상직 법무법인 태평양 변호사('디지털 생활자' 저자)

남미 작가 보르헤스의 단편 '반역자와 영웅'을 보자. 1824년 아일랜드는 영국에서 독립하기 위해 영웅 킬패트릭의 지휘로 전쟁을 일으켰지만 매번 실패했다. 누군가 영국에 전쟁기밀을 넘겨주고 있었다. 비밀리에 조사가 시작됐고 결과는 놀라왔다. 모든 증거는 반역자로 킬패트릭을 가리키고 있었다. 민중이 알면 독립전쟁은 실패할 것이 명백했다. 지휘부는 킬패트릭이 영국에 의해 암살되는 것으로 꾸몄고, 그도 계획에 적극 협조했다. 그의 죽음은 영국에 대한 민중의 분노를 일으켜 독립의 기폭제가 되었다. 그는 역사의 영웅으로 남았다. 소설에서 영웅이 반역자가 된 이유는 명확하지 않다. 영국을 이길 자신이 없었을까. 위선을 통해 명예와 부를 지키고 싶었던 걸까. 인간은 신분과 지위에 관계없이 양면성을 가지고 있다. 선함과 악함, 성실함과 게으름, 옳음과 그름 등 상반된 요소를 함께 갖고 있다가 상황에 따라 특정 요소가 표출되는 것은 아닐까. 영웅이면서 반역자인 사람이 많은 세상이다.

그림작가 이소연 作그림작가 이소연 作

우리는 최고지도자가 항상 영웅이길 원한다. 그러나 그도 우리와 별반 다르지 않다. 영웅과 반역자의 상반된 요소를 함께 가진다. 윤석열 전 대통령은 불의를 참지 못하는 검사출신이다. 국민은 공정과 상식이 통하는 나라를 원했기에 그를 선택했다. 정쟁에 시달린 그는 위헌적인 비상계엄을 단행해 탄핵됐고, 내란죄 수괴로 수사를 받고 있다. 영웅의 요소는 사라지고 반역자만 남았다. 차기대통령 선거일정에 따라 많은 정치인이 그의 뒷자리를 다툰다. 그들 역시 영웅과 반역자의 요소를 모두 갖고 있는 것은 아닐까. 사람은 누구나 선함과 악함을 함께 갖고 있지만 스스로 또는 타인의 도움을 받아 선함을 드러내려 애쓴다. 최고지도자도 다르지 않다. 그런데 누구는 영웅으로 존경받으며 임기를 마치고 또 다른 누구는 반역자로 멸시받으며 불명예 퇴진한다. 지도자가 잘못된 길로 들어서는 것이 본인만의 잘못일까. 최고지도자의 영웅적 요소를 깎아내리고 반역자적 요소만을 들춰 공격한다면 어떻게 될까. 정쟁을 제도화한 것이 정치이기에 어쩔 수 없는 것일까. 악마적 정쟁 때문에 최고지도자가 국가 본연의 일을 그르치면 피해는 고스란히 국민에게 전가된다. 그렇기에 정치인은 국가와 국민을 위해 오직 선의의 경쟁과 상생의 정치에 집중할 의무와 책임이 있다. 차기대통령 선거에서 그들 중 누군가 국민의 신임을 받아 최고지도자가 된다면 과거의 악순환을 반복해선 안된다. 반역자가 아닌 영웅으로 나랏일을 감당할 수 있게 모두 도와야 한다. 킬 패트릭도 마지막 순간엔 달랐다. 동지들과 '의로운 죽음'이라는 대타협의 거대한 연극을 지어냈고, 아일랜드는 독립의 길을 열었다. 보르헤스의 단편은 인간본성에 대해 깊은 성찰을 하되 과거에 멈추지 않는다. 선악의 이분법에 따른 극한 대립과 경계를 허물어 미래를 향하고 있다. 정치적 대타협을 이룰 창의적 아이디어를 '반역자와 영웅'에서 보여주고 있다.

보르헤스는 중년에 들어 시력을 잃지만 시각세포는 죽지 않고 새로움을 보는 놀라운 창작을 이어간다. 20세기 패러다임은 이성과 과학을 신봉하면서 진짜와 가짜, 선과 악, 중심과 주변 등 우열의 경계를 나눠 서로를 파괴했다. 그는 문제의 근원인 이분법적 사고를 끄집어내 부수고 해체했다. '무'에서 '유'를 찾은 것은 아니다. '유'에서 다른 '유'를 집요하게 찾아내는데, 기존의 '유'를 개선하는 것을 넘어 완전히 다른 탁월한 '유'를 창조했다.

반지의 제왕, 해리 포터 등 환상문학은 흥미진진한 판타지를 보여준다. 그러나 보르헤스의 작품은 판타지를 거부한다. '낡음'에서 시작하되 '새로움'을 만들었다. 소재가 떨어진 소설을 죽음에서 구해냈다. 정치, 경제, 사회, 문화의 근본을 뒤집는 소설적 창의를 보여줬다. 세상은 그의 작품을 통해 해묵은 상처와 분열을 극복했다. 새로운 개념의 인간상, 가상세계, 우주 등 가치 있는 미래를 연구하며 실현할 단서를 찾고 현실공간에서 실행했다.

이상직 법무법인 태평양 변호사('디지털 생활자' 저자)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