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기의 韓영화 어쩌나…칸 영화제 경쟁·비경쟁 전부 불발

3 weeks ago 3

제78회 칸 국제영화제 초청작 발표 기자회견
韓영화 단 한 작품도 언급無…전부 초청 불발 이례적
2013년 단편 초청 유일…12년 만에 K무비 대굴욕
韓영화 위기 실감…추가 초청작 발표 가능성 남아

  • 등록 2025-04-10 오후 7:15:25

    수정 2025-04-10 오후 7:15:25

[이데일리 스타in 김보영 기자] 올해 한국 영화의 칸 국제영화제 초청이 불발됐다. 오는 5월 열리는 제78회 칸 국제영화제에는 한국 영화가 트로피를 겨루는 경쟁 부문을 물론, 비경쟁 부문에도 단 한 작품도 초청되지 못했다.

칸 국제영화제 공식 로고.

이리스 크노블로흐 칸 국제영화제 조직위원장과 티에리 프리모 칸 국제영화제 집행위원장이 10일(한국시간) 오후 제79회 칸 국제영화제 초청작들을 발표했다. 이날 발표는 칸 국제영화제 공식 유튜브 및 사회관계망서비스(SNS)를 통해 생중계됐다. 이날 공식 발표에 따르면 한국 영화 중 초청작에 이름을 올린 작품은 단 한 개도 없다. 경쟁, 비경쟁 부문에 전부 이름을 올리지 못했다. 한국 장편 영화가 단 한 작품도 초청작에 이름을 올리지 못한 것은 2013년 이후 무려 12년 만이다.

앞서 지난 2022년 75회 칸 국제영화제에서 한국 영화는 경쟁 부문에 ‘브로커’, ‘헤어질 결심’이, 미드나잇 스크리닝’에 ‘헌트’가 초청됐다. 또한 비평가주간에 ‘다음 소희’가 단편 경쟁 부문 애니메이션 ‘각질’ 등이 이름을 올려 세계의 주목을 받았다. 특히 이 해 배우 송강호가 ‘브로커’를 통해 한국 남자 배우 최초로 남우주연상을 받고, 박찬욱 감독이 ‘헤어질 결심’으로 감독상을 거머쥐면서 K무비가 칸 영화제의 주류를 이끌었다는 평가까지 나왔다.

그러나 이 해를 끝으로 한국 영화는 2년 연속 경쟁 부문에 단 한 편의 후보도 배출하지 못했다. 팬데믹의 영향으로 영화 시작 제작 움직임이 위축되고, 해외 영화제에서의 활약도 줄어들자 영화계에서는 우려의 목소리가 점점 커졌다. 지난해에는 한국 장편 상업영화 중 ‘베테랑2’가 미드나잇 스크리닝 부문에 초청되는데 그쳤다.

그러나 한국 장편 영화가 경쟁은 물론, 비경쟁 부문에도 초청받지 못한 건 심각하다는 평가다. 한국 장편 영화가 단 한 편도 초청되지 않은 건 2013년 이후 무려 12년 만이다. 2013년에는 문병곤 감독이 연출한 13분 분량 단편영화 ‘세이프’가 유일하게 단편 경쟁 부문에 이름을 올렸다. 또 그해 단편 부문 최고상인 ‘단편 황금종려상’을 받았다.

앞서 올 초 영화계에서는 박찬욱 감독의 신작인 ‘어쩔수가없다’와 나홍진 감독의 신작 ‘호프’가 칸 영화제에 초청을 받을 가능성을 점치는 분위기가 있었으나, 두 작품 모두 현재 후반작업을 마치지 못해 올해 칸 영화제에 출품하지 못했다.

업계에 따르면, 올해 칸 영화제에 출품한 것으로 알려진 한국 영화는 연상호 감독의 ‘얼굴’, 김병우 감독의 ‘전지적 독자 시점’, 김미조 감독의 ‘경주기행’ 등이다.

다만 공식 초청작 발표 이후에도 추가적으로 초청작들이 발표되는 경우가 많은 만큼, 칸 진출 가능성은 아직 남아있다.

한편 제78회 칸 국제영화제는 오는 5월 13일(현지시간)부터 24일까지 프랑스 칸 일대에서 개최한다. 칸 영화제의 공식 섹션은 황금종려상 등 상을 수여하는 경쟁 부문과 그중 비경쟁 부문, 주목할 만한 시선, 미드나잇 스크리닝, 특별상영, 시네파운데이션, 단편영화 섹션 등으로 나뉜다.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