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산에 '한국판 킹스크로스' 청년 일·주거 용광로 만들자

4 hours ago 1

부동산

용산에 '한국판 킹스크로스' 청년 일·주거 용광로 만들자

뉴스 요약쏙

AI 요약은 OpenAI의 최신 기술을 활용해 핵심 내용을 빠르고 정확하게 제공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려면 기사 본문을 함께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영국 런던 킹스크로스역은 유로스타 출발지로 선정된 이후 대규모 복합 개발을 통해 '혁신도시'로 변모하였으며, 청년과 일자리를 위한 공간이 핵심으로 자리 잡았다.

서울 용산은 강남, 여의도, 광화문을 연결하는 중심축에 위치해 있으며, 청년 복합도시 조성을 위해 주거 대책과 문화 공간이 필요하다는 전문가의 의견이 제시되었다.

김현수 교수는 용산이 '한국판 킹스크로스'가 될 수 있는 이상적인 입지라고 강조하며, 청년들이 머물고 싶어하는 도시 만들어야 한다고 말했다.

회원용

핵심 요약쏙은 회원용 콘텐츠입니다.

매일경제 최신 뉴스를 요약해서 빠르게 읽을 수 있습니다.

서울시 추진 국제업무지구
英런던 상징 혁신지구처럼
일자리·집·문화 어우러진
청년복합도시로 조성 제안

◆ 새정부에 바란다 ◆

철도역 복합 개발 프로젝트가 추진되면서 영국 런던에서 가장 활기찬 혁신도시로 거듭난 킹스크로스 일대. 킹스크로스 개발 컨소시엄

철도역 복합 개발 프로젝트가 추진되면서 영국 런던에서 가장 활기찬 혁신도시로 거듭난 킹스크로스 일대. 킹스크로스 개발 컨소시엄

영국 런던 킹스크로스역은 한때 쇠퇴와 방치의 상징이었다. 하지만 유로스타의 런던 출발지로 선정된 1996년 이후 대전환이 시작됐다. 철도역을 중심으로 한 복합 개발 프로젝트가 추진되면서 킹스크로스는 런던에서 가장 활기찬 '혁신도시'로 거듭났다.

킹스크로스 개발의 핵심은 청년과 일자리를 위한 공간이었다. 30억파운드(약 4조2000억원)가 투입된 마스터플랜은 단순한 외관 재정비가 아니라 주거와 일자리, 문화와 교육이 조화를 이루는 '살고 싶은 도시'를 지향했다. 예술대학인 런던예술대(UAL) 캠퍼스를 이전해 청년 인재를 끌어들였고, 2000가구가 넘는 저렴한 임대주택을 지어 젊은 세대가 안정적으로 머물 수 있도록 했다. 매일 열리는 공연과 전시, 걷기 좋은 거리와 공원도 이곳을 '일하고 싶고, 살고 싶은 곳'으로 만들었다.

한국의 가장 시급한 도시 과제도 '청년이 떠나지 않는 도시'를 만드는 일이다. 서울의 2030세대가 집값 부담을 견디지 못해 외곽으로 밀려나면서 도시의 활력이 빠르게 사그라들고 있다. 이들이 다시 돌아오게 하려면 단순한 주택 공급을 넘어 '살고 싶은 이유'를 도심 안에 만들어야 한다.

이와 관련해 서울 용산이 주목받고 있다. 강남(업무), 여의도(금융), 광화문(행정)을 연결하는 도시의 중심 축에 자리한 용산은 입지상으로 대기업 유치와 스타트업 육성 등 청년복합도시를 조성하는 데 최적의 입지다.

하지만 이곳이 진정한 미래 도시가 되려면 청년을 위한 주거 대책이 반드시 병행돼야 한다. 김현수 단국대 도시계획·부동산학부 교수는 "용산은 '한국판 킹스크로스'가 될 수 있는 가장 이상적인 입지"라며 "정치나 정권 변화와 무관하게 장기적 안목에서 청년이 살고 싶은 도시를 만든다는 철학이 관통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청년이 머물 수 있도록 적정 임대료의 임대주택, 공동체형 주거, 문화예술 커뮤니티 공간 등이 함께 들어서야 한다. 용산 국제업무지구에는 100층 내외의 초고층 빌딩을 비롯해 세계 최초의 1.1㎞ 길이 스카이트레일과 수직정원 등 미래형 건축 콘셉트가 적용될 예정이다. 고층 빌딩만 늘어선 국제업무지구에 그치지 않으려면 '청년이 중심인 도시' 비전을 담아야 한다. 청년은 도시의 에너지이자 미래다. 청년이 돌아오지 않는 도시는 경쟁력을 잃는다.

[손동우 기자]

이 기사가 마음에 들었다면, 좋아요를 눌러주세요.

좋아요 0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