왜 나는 미국 기술에서 벗어나려 하는가

20 hours ago 1

1. 트럼프와 실리콘밸리의 동맹

  • 트럼프 2기 취임식에 실리콘밸리 억만장자들이 전면에 나섰고, 그들은 세금 회피와 규제 완화를 위해 트럼프와 손잡았다.
  • 실리콘밸리의 미래지향적 서사는 사라졌고, 플랫폼들은 자사 이익을 위해 품질과 신뢰를 희생하고 있다.
  • 미국 기술 의존은 수십 년간 이어진 구조적 문제이며, 이는 미국의 세계 권력 확대에도 기여했다.

2. 기술 독점의 결과와 국제적 불균형

  • 미국 빅테크는 각국의 디지털세, 규제에 대해 관세 위협으로 보복하고 있다.
  • 동맹국들도 반도체 및 클라우드 기술 접근 제한의 대상이 되는 등 미국의 경제적 공격성이 커지고 있다.
  • 저자는 이처럼 극우와 결탁한 산업 구조를 목격하며 더 이상 묵과할 수 없다고 말한다.

3. 개인의 대안 탐색과 디지털 자립의 필요성

  • 미국 기술 패권에 대응하기 위해 유럽, 캐나다 등은 디지털 주권 확보에 나서야 한다고 주장한다.
  • 하지만 정부만 기다릴 수 없어, 저자는 개인적으로 비미국계 서비스들을 직접 사용해보며 대안을 찾고 있다.
  • 완전한 탈출은 어렵지만, 점진적 이탈과 대안 탐색이 하나의 신호가 될 수 있다고 믿는다.

4. 실천과 한계, 그리고 기대

  • 일부 분야에서는 아직 마땅한 대안이 없지만, 예상보다 다양한 선택지가 존재하고 만족도도 높다.
  • Apple 생태계나 AWS 기반 서비스처럼 완전히 벗어나기 어려운 부분도 인정하고 있다.
  • 향후 더 자세한 서비스 추천과 평가를 공유할 예정이며, 집단적 행동이 변화를 이끌 수 있음을 강조한다.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