엔지니어 연봉은 어디서 나오는가?

1 week ago 8

  • 많은 소프트웨어 엔지니어들이 본인의 일이 왜 중요한지를 잘못 이해하고 있음
  • 종종 수익성과 무관한 일(기술 부채 해결, 접근성 개선 등)에 집중하다가 해고되거나 낮은 평가를 받는 경우가 많음
  • 이는 마치 자신의 해고를 유도한 정치인을 지지하는 것과 비슷한 사고 구조임

기술 회사의 본질

  • 기술 회사는 소수의 사람들이 돈을 벌기 위해 운영하는 조직임
  • 성공적인 기술 회사는 많은 수익을 창출하고, 이를 유지하거나 확장하기 위해 소프트웨어 엔지니어를 고용함
  • 회사는 수익과 직접 연결된 일에 더 많은 가치를 둠
  • 엔지니어의 일이 회사 수익과 연결되지 않으면, 그 자리는 불안정함

안정적인 포지션을 위해 필요한 이해

  • 당신의 일이 수익과 연결되어 있는지를 알기 위해선 두 가지를 이해해야 함:
    • 회사의 비즈니스 모델(돈을 버는 구조)
    • 당신의 일이 그 구조를 어떻게 지원하는지
  • 대기업은 사업 모델과 재무 정보를 공개하므로 이를 통해 분석 가능
  • 사내에서는 주요 고객 정보나 매출 데이터를 확인하거나, 관련 부서와의 커뮤니케이션을 통해 파악 가능

수익성과의 연계 예시

  • 직접적인 제품을 개발하는 경우: 제품이 회사 수익의 몇 퍼센트를 차지하는지 분석 가능
  • 간접적인 팀(예: 접근성, 로컬라이제이션)의 경우:
    • 새로운 고객군 확보
    • 규제 요건 충족
    • 브랜드 이미지 개선 등으로 간접적인 수익에 기여함
  • 이런 기여는 회사가 여유가 있을 때만 유효할 수 있음
    • 예: 2019년처럼 자금이 풍부한 시기엔 가치 기반의 투자도 이루어짐
  • 큰 회사에서는 작은 비율의 성장도 큰 수익으로 이어지므로, 간접적인 일도 가치 있음
    • 예: Google의 경우, 고객층이 2%만 늘어나도 수십억 달러의 수익 창출 가능

의미 있는 일을 하면서 안정도 추구하는 법

  • 당신이 하고 싶은 일이 수익성과 직접 관련 없다면, 아주 수익성 높은 큰 회사에서 일하는 것이 중요함
  • 작고 수익이 낮은 회사에선 가치 기반의 일은 구조조정 대상이 되기 쉬움

소수점 수준의 가치를 추구하는 대기업의 전략

  • 대기업은 전체 사용자 기반을 조금이라도 확장할 수 있는 '좋은 기능'(접근성, 성능 개선 등)을 통해 이익을 창출함
  • 이것이 현실적인 전략임. 반면 비현실적인 사고는 아래와 같음:
    1. 좋은 기능은 모두에게 좋은 것
    2. 좋은 회사는 좋은 기능을 원함
    3. 나는 좋은 회사를 찾기만 하면 됨
  • 이런 사고방식은 많은 엔지니어를 번아웃으로 이끌며, 반복적인 해고 루프로 빠지게 함

요약

  • 중요한 일이라고 해서 급여를 받는 것이 아님
  • 수익을 만들어야 급여를 받을 수 있음
  • 자신의 작업이 회사 이익과 어떻게 연결되는지 파악하고, 그 연결을 강화해야 함
  • 간접적으로 수익을 창출하는 일도 있음. 특히 대기업에서는 작은 기여도 큰 수익으로 이어짐
  • 수익성과 무관한 일에 집중하고 싶다면, 성공적인 기술 회사에서 일하는 것이 더 나을 수 있음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