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 학원 설명회부터 임영웅 청음회까지...엄마들 우르르 몰려가는 ‘이곳’

8 hours ago 5

뉴스 요약쏙

AI 요약은 OpenAI의 최신 기술을 활용해 핵심 내용을 빠르고 정확하게 제공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려면 기사 본문을 함께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최근 극장들이 영화 외 콘텐츠로 변신하고 있으며, 다양한 공연 및 이벤트를 개최하여 관객을 유치하고 있다.

특히 CJ CGV는 가수 임영웅의 청음회와 브라운아이드소울의 뮤직비디오 상영회 등을 통해 극장의 매력을 극대화하고 있다.

이러한 변화는 매출 감소에 대응하기 위한 전략으로, 극장의 기본 시설을 활용하여 부가 수익 창출에 집중하고 있다는 업계의 분석이 있다.

회원용

핵심 요약쏙은 회원용 콘텐츠입니다.

매일경제 최신 뉴스를 요약해서 빠르게 읽을 수 있습니다.

영화관, 영화상영에서 변모
가수 청음회∙뮤비 상영회 등
큰 화면∙생생한 소리로 몰입감

[사진출처 =  가수 임영웅 공식 sns]

[사진출처 = 가수 임영웅 공식 sns]

“요즘 학원 설명회를 극장에서 하더라고요.”

“임영웅 노래에 훨씬 집중하게 됐죠. 사운드 빵빵한 극장이잖아요.”

더 이상 영화 관람객들로만 영업 유지가 어려운 극장들이 변신하고 있다. 가수나 오케스트라단의 공연실황, 스포츠 경기 중계, 앨범 청음회부터 유명 학원 설명회까지 다양한 변화를 모색 중이다. 아예 영화상영이란 본업을 버리고 교회나 스포츠시설로 탈바꿈하는 영화관도 생겨났다.

관련업계에 따르면 지난 8월 전국에 있는 CJ CGV 중 약 50개 극장에서는 가수 임영웅이 두번째 정규앨범 발매를 앞두고 팬들을 위해 청음회를 열었다. 대규모 청음회임에도 불구하고 무려 팬 5만명이 몰렸다.

극장의 대형 스크린과 생생한 사운드로 음반의 완성도를 극대화했을 뿐 아니라 마치 콘서트장에 온 듯한 몰입감까지 선사하며 극장의 변신을 꾀했다.

지난달 CGV 용산아이파크몰점과 왕십리점, 영등포점 등에서는 브라운아이드소울의 정규 5집 발매 기념 뮤직비디오 상영회가 이뤄졌다. 상영시간이 짧은 만큼 티켓 가격도 저렴했다.

업계 관계자는 “기본적으로 팬들이 확보된 가수들은 이처럼 영화관을 활용해 청음회나 뮤직비디오 상영회를 최근 자주 실시하고 있다”며 “당장의 매출 증대에 큰 도움이 된다기보다는 일단 한번이라도 더 많은 손님들을 영화관으로 오게끔 하려는 목적이 크다”고 전했다.

[사진출처 = CGV]

[사진출처 = CGV]

CGV는 또 영화관과 고급 레스토랑을 결합한 ‘시네드쉐프’를 운영중이다. CGV에 따르면 압구정점과 용산점, 센텀시티점 등 3곳에서는 영화 속 음식을 맛볼 수 있다. 상영관의 강점인 높은 층고를 활용해 클라이밍 짐으로 바뀐 곳으로는 ‘CGV 피카디리 1958′이 있다.

롯데시네마는 지난 6월 합정점에 체험형 전시공간인 ‘랜덤스퀘어 갤러리’를 열었다. 홍대점에는 방탈출 게임과 같은 몰입형 체험을 할 수 있는 공간인 ‘라이브시네마’를 선보이기도 했다.

롯데시네마는 서울 잠실 월드타워점의 상영관 한 곳도 연극 같은 공연을 올릴 수 있는 중소형 공연장으로 바꿀 예정이다.

학원이나 기업의 대관 공간으로도 영화관이 각광받는다. 일단 많은 인원을 한꺼번에 다 수용 가능하고, 영상 상영이 용이하며 의사소통을 돕는 음향시설 역시 잘 갖춰져 있어서다. 넉넉한 주차공간을 가지고 있는 점도 영화관의 장점이다.

최근 서울 송파구 문정동 복합쇼핑몰 내 위치한 CGV 송파점의 경우 교회에 팔리기도 했다. 해당 교회는 영화관의 복층 구조가 대형 집회 시설로 활용하기 쉽다는 판단하에 영화관을 매입, 앞으로 교회 예배 공간으로 활용할 예정이다.

삼성증권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국내 박스오피스 매출액은 4079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33.2% 줄어들었다. 관객 수도 4250만명으로 전년 동기 대비 32.5% 감소했다.

국내 멀티플렉스 1위 사업자인 CJ CGV만 보더라도 올해 2분기 영업이익이 17억원에 그쳤다. 이는 지난해 동기 대비 92.3% 감소한 규모다. 1분기 영업이익도 지난해 동기 대비 29.5% 줄어든 32억원을 기록했다.

이런 상황에서 극장들은 영화 분야의 매출 침체를 메우기 위해 영화 외 콘텐츠나 시설 활용 방안을 확대하는 추세다.

업계 관계자는 “최근 정부가 문화예술 소비 진작을 위해 영화관 입장권 할인 쿠폰을 발행했지만 근본적으로 유의미한 수요 회복을 기대하기는 어려워보인다”며 “다만 영화관의 기본적인 시설을 활용해 부대 수익을 창출하려는 노력이 다방면에서 이뤄지고 있다”고 말했다.

기사 속 종목 이야기

  • CJ CGV

    079160, KOSPI

    4,995 + 0.10%

주의사항 : 본 서비스는 AI의 구조적 한계로 인해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모든 내용은 투자 권유 또는 주식거래를 목적으로 하지 않습니다.

이 기사가 마음에 들었다면, 좋아요를 눌러주세요.

좋아요 0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