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힘 대선 후보 선출을 이틀 앞둔 1일 한동훈 후보가 경북 안동을 찾아 "산불 피해 지원 특별법 제정에 앞장서고 보상 범위를 확대하겠다"고 말했다.
이날 한 후보는 안동 산불 피해 주민들과 간담회에서 "특별한 재해엔 파격적인 보상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며 "산불 피해를 온전히 회복시키는 것을 정치 우선순위에 두겠다"고 말했다. 이날 간담회에는 김형동 국민의힘 의원, 권기창 안동시장, 산불피해 비상대책위원회 및 남후농공단지 피해대책위원회 구성원 등이 함께했다.
이날 한 안동지역 산불 피해 주민 A씨는 한 후보 앞에서 화재로 녹아내린 금가락지를 꺼내놓으며 "94세인 노모가 다 타버린 집터에 뭐라도 건져보겠다고 하루 열 번이고 걸음을 재촉하신다"며 "그러다 찾으신 게 녹아내린 결혼반지"라고 말했다. 이어 "우리를 외면하는 국가 행정이 우리의 마음을 이렇게 녹여 없애고 있다"고 울먹였다.
피해 이주민들은 이마에 붉은 띠를 두르고 빠르고 신속한 재난 특별법 처리를 요구했다. 고태령 길안면 산불 피해자는 "일반 텐트 속에 서로 모르는 4인이 다른 가족들과 생활한다"며 "거동이 불편한 어르신이 많은 만큼 텐트 안에서 밥을 먹으면 기저귀, 쓰레기 등이 옆에서 나뒹군다"고 했다. 이어 "곧 더워지면 질병까지 생길까 염려된다"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자포자기한 심정으로 다 탄 농기계 싣고 고물상에 팔러 다니는 분들이 많다. 이른 시일에 특별법을 처리해주길 바란다"고 말했다.
한 후보는 "지난 3월 텐트에 있는 분들께 도저히 미안해서 찾아뵙지 못하고 화재장소와 근처 경로당으로 발걸음했다"며 "정치인 중 유일하게 한 달이 지난 때 잊지 않겠다는 메시지를 냈다. 1년 뒤에도 그렇게 하겠다"고 약속했다.
피해 기업들도 지원책 마련을 촉구했다. 민춘홍 남후농공단지 피해대책위원장은 "기업체들 피해도 어마어마한데 현행법에선 기업은 지원 대상에서 제외되는 만큼 특별법 제정이 필요하다"며 "특히 피해 복구를 위해 대출을 하려고 해도 이미 대출금이 많거나 신용도가 낮으면 대출이 나오지 않아 회복 역시 요원한 상황"이라고 강조했다.
이에 한 후보는 "산불로 철근이 휘어 새로 짓는 것도 문제지만 철거비도 만만치 않을 것 같다"며 "현재로선 소상공인 외 중소기업 피해를 지금 보상할 수 없는 만큼 특별법에 기업 역시 보상할 수 있는 조항을 반드시 넣을 것"이라고 약속했다.
안동=양현주 기자 hjya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