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유·박보검 대박…넷플릭스가 'K콘텐츠 전파자' 됐다

10 hours ago 1

왼쪽부터 이성민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미디어영상학과 교수와 강동한 넷플릭스 한국 콘텐츠 부문 부사장(VP), 고현주 넷플릭스 한국 커뮤니케이션 부문 시니어 디렉터가 21일 서울 종로구에 센터포인트빌딩 회의실에서 열린 '넷플릭스 인사이트' 간담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사진=박수빈 기자

왼쪽부터 이성민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미디어영상학과 교수와 강동한 넷플릭스 한국 콘텐츠 부문 부사장(VP), 고현주 넷플릭스 한국 커뮤니케이션 부문 시니어 디렉터가 21일 서울 종로구에 센터포인트빌딩 회의실에서 열린 '넷플릭스 인사이트' 간담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사진=박수빈 기자

"한국이라는 나라를 접하는 메인 창구가 유튜브와 넷플릭스였습니다. 넷플릭스를 통해 한국에 대한 호감도를 높일 수 있는 경로가 확장된 것입니다. 넷플릭스를 통해 한국 이미지가 올라가고 또 넷플릭스의 K 콘텐츠 수요가 높아지는 선순환 구조가 만들어졌다고 할 수 있습니다."

이성민 한국방송통신대 미디어영상학과 교수는 21일 오후 서울 종로구에 센터포인트빌딩 회의실 by 필원에서 '넷플릭스 인사이트' 간담회에서 '넷플릭스와 K-콘텐츠 소프트 파워: 글로벌 온라인동영상서비스(OTT)와 K-콘텐츠 한류의 관계 돌아보기'를 주제의 핵심을 이같이 말했다.

이날 간담회는 K 콘텐츠의 영향력에 대해 분석하는 자리로 마련됐다. 넷플릭스와 전문가들은 '폭싹 속았수다' 등 아시아를 넘어 전 세계가 주목하고 있는 K 콘텐츠가 한국에 대한 호감도까지 끌어올리는 현상을 K소프트파워의 선순환이자 '넷플릭스 효과'라 정의하기도 했다.

이 교수는 "넷플릭스는 미주 지역에서 콘텐츠를 생산하는 전통적 미디어 기업의 전략이 아닌 현지 제작 투자를 통해 글로벌 소비자를 끌어오는 전략을 전개했다"며 "가장 큰 수혜자 중 하나가 한국"이라고 바라봤다.

넷플릭스는 이날 'K 콘텐츠와 소프트파워'에 대한 자체 조사를 일부 공개했다. 넷플릭스를 통해 K 콘텐츠를 시청했을 때 한국에 대한 인식이 어떻게 바뀌는지 한국, 브라질, 프랑스, 미국, 인도, 인도네시아, 태국, 일본을 대상으로 분석한 내용이 골자다.

글로벌 시청자들이 K 콘텐츠를 접하는 주요 서비스는 넷플릭스로 이를 통해 한류의 적용 범위와 국가 브랜드에 미치는 영향이 증가하고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예컨대 넷플릭스로 K 콘텐츠를 접하면 알고리즘으로 인해 반복적으로 K 콘텐츠를 시청하게 되고 이러한 과정에서 한국에 대한 문화, 음식, 장소 등에 대해 긍정적인 시각을 갖게 되는 식이다.

보고서 조사 대상 해외 7개국에 한해서 K 콘텐츠 시청자의 한국 방문 의향은 72%로 비시청자 37%보다 약 2배 높았다. 해외 시청자들에게 문화, 역사, 언어를 넘어 한국에 대한 호감의 원동력이 되는 것이다. 한국외 지역의 넷플릭스 사용자는 비사용자에 비해 한국 문화에 대한 탐구 의향도 더 높았다. 한국 문화에 더 알아볼 의향도 비사용자(32%) 보다 넷플릭스 사용자(58%)가 더 높았다.

한국개발연구원(KDI) 또한 한국 콘텐츠가 국가 경제의 핵심 성장 동력으로 자리를 잡았다고 분석했다. KDI가 3월달에 발표한 'K-콘텐츠의 비상: 산업 특성과 성장요인 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콘텐츠 부문 수출은 2010년 이후 11년간 약 4배 증가했다.

이 교수는 넷플릭스 조사와 KDI 연구를 바탕으로 "그동안 업계가 내수 시장, 아시아권만 바라봤다면, 넷플릭스 이후 다양한 산업이 글로벌 주류로 자리매김할 수 있는 가능성도 기대하게 됐다"고 분석했다.

넷플리스 오리지널 콘텐츠인 '폭싹 속았수다'의 젊은 애순이 역의 아이유 스틸컷. 사진= IMDb

넷플리스 오리지널 콘텐츠인 '폭싹 속았수다'의 젊은 애순이 역의 아이유 스틸컷. 사진= IMDb

강 VP는 K콘텐츠가 성공할 수 있는 전략으로 '공감대'를 꼽았다. 강 VP는 "'폭싹 속았수다'의 경우 기존에 한국에서 만들었던 오리지널 콘텐츠와는 결이 달랐다"며 "성공할 수 있을까 고민이 많았지만 한국인들뿐만 아니라 전 세계인이 공감대가 형성돼 한국의 장소, 정서, 대사, 노래까지 한국적 요소들이 마치 간접광고(PPL)처럼 자연스럽게 공유됐다"고 말했다.

넷플릭스는 한국을 콘텐츠 시장의 장기적 파트너로서 상생을 위해 힘쓸 예정이다. 고 디렉터는 "넷플릭스는 한국을 '창작의 뿌리'라고 생각한다며 콘텐츠 5편 중 1편이 신인 작가나 감독의 데뷔작일 만큼 K 콘텐츠 다양화를 위해 힘쓰고 있다"고 말했다. 넷플릭스는 국내 창작 생태계와의 기술 노하우를 공유하고, 신인 작가, 감독, 배우 등 제작진 양성에도 적극 투자를 이어갈 방침이다.

질의응답 시간에는 넷플릭스코리아가 최근 발표한 지난해 실적에서 불분명하게 공시됐던 콘텐츠 투자비에 대한 질문이 나왔다. 고 디렉터는 "앞서 (넷플릭스는) 4년간 25억달러의 금액을 한국 콘텐츠에 투자하기로 발표한 바 있다"며 "공시된 것은 넷플릭스 한국 지사이고, 콘텐츠에 대한 투자는 본사에서 직접 투자를 지원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넷플릭스는 중증외상센터, 폭싹 속았수다 등 K드라마 인기에 힘입어 시장 예상치를 웃도는 1분기 실적을 달성한 바 있다. 지난 17일(현지시간) 넷플릭스는 올해 1분기 매출은 105억4300만달러, 주당순이익(EPS)은 6.61달러를 기록했다고 공시했다.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12.5%, 주당순이익은 25.2% 증가했다.

박수빈 한경닷컴 기자 waterbean@hankyung.com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