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의 관세 전쟁으로 글로벌 다이아몬드산업에 경고등이 켜졌다. 트럼프 행정부가 다이아몬드에도 관세를 부과하자 거래가 급감했기 때문이다. 미국은 글로벌 다이아몬드 수요의 절반을 차지하는 최대 소비 시장이다.
15일(현지시간) 파이낸셜타임스(FT)에 따르면 아랍에미리트(UAE) 두바이와 함께 글로벌 다이아몬드 유통 허브로 꼽히는 벨기에 앤트워프에서 다이아몬드 하루 배송량이 트럼프 대통령이 지난 2일 관세를 발표한 이후 85%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앤트워프 다이아몬드업계 대표 기관인 앤트워프다이아몬드센터의 카런 렌트메이스터르스 최고경영자(CEO)는 “관세 발표 후 이곳에서 다이아몬드 선적이 사실상 멈춰 섰다”고 말했다.
트럼프 행정부가 전 세계에 부과한 관세 10% 대상에서 금, 구리 등 여러 광물이 제외됐지만 다이아몬드는 관세를 피하지 못했다. 원산지에 따라 상호관세도 부과될 예정이다. 다이아몬드는 보통 보츠와나 등에서 채굴돼 두바이를 포함한 유통 허브를 거쳐 인도에서 가공된다. 미국에서는 인증 절차 정도만 이뤄진다. 세계 최대 감정기관인 미국감정기관(GIA)은 캘리포니아에 본부가 있다. 세계 다이아몬드 90%가 인도에서 폴리싱(연마) 공정을 거치는데 문제는 연마 공정이 이뤄진 국가를 다이아몬드 완제품 원산지로 본다는 점이다. 트럼프 대통령이 인도에 예고한 상호관세는 27%다.
세계 최대 다이아몬드 소비국인 미국은 다이아몬드 광산이 없기 때문에 전량 수입에 의존한다. FT는 “미국으로 다이아몬드를 보내 인증받은 후 다시 수출하는 일반적인 절차가 이번 관세로 크게 위협받고 있다”고 했다. 프리테시 파텔 GIA 최고운영책임자(COO)는 “관세 때문에 홍콩, 두바이 등 해외 8개 사무소의 운영을 강화했다”며 “관세가 전체 공급망에 많은 불확실성을 안겨주고 있다”고 말했다.
천연 다이아몬드는 실험실에서 만드는 인공 다이아몬드 ‘랩그로운 다이아몬드’와 경쟁하며 수요가 점차 줄어드는 추세다. 국제다이아몬드거래소(IDEX)에 따르면 국제 천연 다이아몬드 가격지수(2021년=100)는 지난해 4월 107.20에서 이달 1일 기준 95.38로 하락했다.
트럼프 정부의 관세 부과까지 더해져 다이아몬드업계가 휘청거리고 있다. 광산업체 트러스트코리소시스의 리처드 체트워드 회장은 “다이아몬드산업은 매우 어려운 상황”이라며 “갑자기 관세까지 부과된다면 산업을 짓밟는 것과 다름없다”고 비판했다.
전문가들은 글로벌 무역 전쟁이 다이아몬드 수요 전반에 타격을 줄 것으로 보고 있다. 또한 다이아몬드 공급망에도 심각한 혼란이 예상된다. 독립 다이아몬드 분석가 폴 짐니스키는 “글로벌 다이아몬드 수요에서 불확실성은 매우 치명적”이라며 “소비자들은 불확실성이 커질 때 구매와 투자에 주저하기 때문에 다이아몬드와 같은 사치재에 영향이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한경제 기자 hankyu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