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범석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직무대행이 2일 서울 중구 은행회관에서 열린 '거시경제·금융현안 간담회'를 주재하고 있다. [기재부 제공]](https://img.etnews.com/news/article/2025/05/02/rcv.YNA.20250502.PYH2025050201440001300_P1.jpg)
최상목 전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의 사임으로 경제팀도 다음 대통령이 선출되기 전까지 직무대행 체제로 전환됐다. 1분기 경제성장률이 뒷걸음질 치고 통상 위기가 고조되는 가운데 대행 체제에 따른 한계가 우려된다.
기획재정부는 2일 김범석 1차관이 '부총리 겸 기재부 장관' 직무대행을 맡으며 비상 대응 체제에 돌입했다.
기재부가 김 대행을 중심으로 신속한 대응에 나섰지만 부총리 부재에 따른 공백을 모두 메울 수 있을지는 미지수다.
블룸버그 통신은 한 권한대행과 최 부총리가 사표를 낸 데 대해 “이 나라의 정치위기를 깊게 만드는 또 다른 충격적 전개”라고 평가했다.
기재부는 최 부총리의 지휘 아래 계엄 및 탄핵으로 인한 정국 불안 상황에서 대외신인도 관리에 총력을 기울여왔다. 최 부총리 이름으로 주요국 재무장관과 국제기구, 글로벌 신용평가사들에 한국의 상황을 설명하고 국가 시스템이 정상 운영되고 있다는 서한을 보냈다. 신평사들도 한국의 이같은 노력에 공감하며 국가 신용등급을 종전과 같은 수준으로 유지했다.
관세 협의도 난항을 겪을 수 있다. 최 부총리는 스콧 베센트 미국 재무장관과 '2+2 통상협의'를 진행한 당사자이며, 7월 패키지의 한 축인 환율 협의는 기재부와 재무부가 별도로 하기로 한 상황이다.
김 대행은 이날 거시경제·금융현안 간담회(F4) 회의를 주재하고 “증대된 정치적 불확실성이 금융·외환시장에 주는 부정적 영향이 최소화될 수 있도록 F4 회의를 중심으로 비상점검·대응체계를 지속 가동하겠다”고 밝혔다.
최 전 부총리의 사임과 관련해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 김병환 금융위원장, 이복현 금융감독원장 등 참석자들은 “관세 충격으로 경제·금융시장 불확실성이 큰 상황에서 부총리가 탄핵소추로 불가피하게 사임하게 된 것을 안타깝게 생각했다”고 전했다.
김 대행은 이어 기재부 실·국장들이 참석하는 확대간부회의를 주재했다. 김 대행은 기재부 직원들에게 어떠한 상황에도 흔들림 없이 맡은 바 업무를 충실하게 수행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하며 조직을 추슬렀다.
김 대행은 “대외 신인도 사수와 관세 충격 최소화에 총력을 다하는 가운데, 추가경정예산을 최대한 신속히 집행해 재해·재난 대응, 통상·AI 지원, 민생 지원, 건설경기 보강 등 시급한 현안 대응을 차질없이 추진해달라”고 지시했다.
최다현 기자 da2109@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