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증금 먹튀 청년안심주택 서울시가 대신 지급해 구제

3 weeks ago 22

뉴스 요약쏙

AI 요약은 OpenAI의 최신 기술을 활용해 핵심 내용을 빠르고 정확하게 제공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려면 기사 본문을 함께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서울시는 최근 청년안심주택 임차인에게 보증금을 직접 지급하기로 결정했다.

이는 임차인들이 보증금 미반환 문제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상황에서, 긴급 퇴거 희망자에게 우선 지급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또한 서울시는 신규 사업장 중 보증보험에 가입하지 않은 경우 임대사업자 등록을 말소할 계획이다.

회원용

핵심 요약쏙은 회원용 콘텐츠입니다.

매일경제 최신 뉴스를 요약해서 빠르게 읽을 수 있습니다.

보증보험 가입 안한 사업장
사업 등록말소·인센티브 회수

사진설명

서울시가 최근 보증금 미반환 문제가 발생한 청년안심주택 임차인들에게 보증금을 직접 지급하기로 했다. 또 임대보증금보증(보증보험)에 가입하지 않은 신규 사업장은 임대사업자 등록말소를 추진하기로 했다.

20일 서울시는 청년안심주택 보증금 미반환 문제와 관련한 임차인 보호 대책을 발표했다. 송파구 잠실 센트럴파크와 동작구 코브 등에서 임차인들에게 보증금을 돌려주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한 데 따른 것이다.

청년안심주택은 서울시가 청년 주거 부담을 덜어주기 위해 2016년 도입한 임대주택 유형으로 현재까지 약 2만6000가구가 공급됐다.

우선 서울시는 보증금 회수까지 시간이 길게 소요돼 새 주거지 마련에 어려움을 겪는 선순위 임차인 중 긴급 퇴거 희망자에게 보증금을 시가 우선 지급하기로 했다.

이 밖에도 서울시는 부실 사업자의 청년안심주택 진입을 막는 조치도 발표했다. 임차인을 모집 중인 곳 중 9월까지 보증보험에 가입하지 않은 사업장은 임대사업자 등록을 말소할 계획이다. 현재 보증보험에 미가입한 사업장은 4곳 944가구다.

[김유신 기자]

이 기사가 마음에 들었다면, 좋아요를 눌러주세요.

좋아요 0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