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벌침은 낚시바늘과 같음
- 꿀벌이 사람을 쏘면 벌침이 바늘처럼 박히는 것이 아니라 바늘에 갈고리가 달려 있음.
- 벌이 쏘고 날아가려 할 때 갈고리 때문에 벌침이 빠지지 않아 벌의 복부가 찢어져 죽음.
- 이러한 자살적인 메커니즘이 진화적으로 왜 선택되었는지 의문임.
-
생물학적 독 펌프
- 벌침이 빠지면서 독 주머니와 근육 펌프가 남아 독을 계속 주입함.
- 이 독 펌프는 벌의 신경계와 독립적으로 작동하여 효과적으로 독을 전달함.
- 말벌과 비교했을 때 벌의 독 주입 방식이 더 효과적임.
-
초유기체, 면역 체계, 집단 생활
- 벌은 집단을 방어하기 위해 죽음.
- 일벌은 번식하지 않기 때문에 진화적으로 죽어도 큰 문제가 없음.
- 면역 체계의 호중구와 유사하게, 일벌의 죽음은 더 큰 집단의 생존에 기여함.
-
집단 선택
- 다윈은 사회적 곤충이 자연 선택 이론에 도전한다고 봄.
- 집단 선택 이론은 이타주의가 집단의 생존 가능성을 높여 진화할 수 있다고 설명함.
- 이타주의는 개인보다는 집단의 생존에 유리함.
-
친족 선택과 생물학적 이타주의
- 윌리엄 D. 해밀턴은 친족 선택 이론을 통해 이타주의가 진화할 수 있음을 설명함.
- 벌의 유전적 구조인 반수체-이배체가 자매 간의 유전적 관련성을 높여 이타주의를 촉진함.
-
간접 적합도와 반수체-이배체 가설
- 간접 적합도는 친족을 통해 유전자를 전달하는 개념임.
- 벌의 자매는 유전적으로 3/4 정도 관련되어 있어, 여왕을 통해 자매를 더 많이 생산하는 것이 유리함.
- 이는 친족 선택을 통해 초유기체의 진화를 설명함.
-
반수체-이배체 가설의 한계
- 모든 반수체-이배체 종이 사회적이지 않으며, 일부 이배체 종도 사회적임.
- 여왕이 여러 수컷과 교미하거나 성비가 균등할 경우 가설이 적용되지 않음.
- 다양한 모델이 제안되어 연구 중임.
-
결론
- 벌이 쏘고 죽는 이유는 여러 이론이 존재하며, 초유기체의 일부로서의 역할이나 친족 선택에 의해 설명될 수 있음.
- 확실한 답은 없으며, 생물학자들 사이에서도 논쟁이 계속되고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