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번역] 낙관주의는 현실이 됩니다

10 hours ago 1

  • 두려움의 대상: 스타트업이 빠른 실행력을 잃고 대기업처럼 느려지는 것.
    • 초기 직원의 효율성을 이후 직원들도 유지해야 함.
  • 업무 처리 속도의 핵심 요소:
    • 업무의 소요시간을 미리 예상하는 ‘관점(Scope)’과 낙관적 태도가 실제 업무 속도에 큰 영향을 미침.
    • 보통 업무 소요 시간이 관점에 영향을 준다고 생각하지만, 실제로는 반대임.
    • 관점이 업무 완료 시간에 영향을 줌:
      • 오래 걸린다고 생각하면 오래 걸리고, 빨리 끝날 거라 생각하면 빨리 끝남.
  • 관점이 실제 성과에 영향을 주는 사례:
    • 마라톤 완주 기록 히스토그램에서 깔끔한 숫자(3시간, 3시간 반 등)에 유독 기록이 많음:
      • 인간은 설정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노력하는 성향이 강함 (자연스럽게 목표에 맞추는 '림보 효과(Limbo Effect)').
    • 4분 마일의 사례:
      • 이전까지 불가능하다고 여겼던 기록이 깨지자 갑자기 많은 사람이 그 기록을 넘음.
    • 학생들이 마감 직전에 과제를 완료하는 현상 역시 같은 원리로 설명됨.
  • 스타트업과 림보 효과:
    • 높은 긴급성 상황(예: 사이트 다운, 초기 스타트업 환경)은 "마감일이 지금"이라는 인식으로 인해 매우 빠르게 업무가 진행됨.
    • 반면, 현실적인 관점(평균 소요시간)을 설정하면:
      • 일찍 끝내도 큰 이득이 없고, 늦으면 손해이므로 결국 ‘관점’ 근처의 시간에 업무를 완료하게 됨.
      • 이는 평균적으로 일을 더 느리게 만듦.
  • 낙관적인 관점이 중요한 이유:
    • 상위 10%의 빠른 완료 시간으로 관점을 설정하면 실제 평균 완료 속도가 높아짐.
    • 낙관적 목표 설정이 실제 성과를 빠르게 만듦 (optimism shapes reality).
    • 그러나 현실에서는 관점을 설정하는 데 대부분 비관적이어서, 더욱 느려짐.
  • Scale AI의 신조와의 연결:
    • “속도(Tempo)”: 가능한 빠르게 업무를 처리하는 것이 림보 효과의 가장 좋은 해독제.
    • “야망이 현실을 만든다(Ambition shapes reality)”: 낙관적인 목표를 설정하면 장기적으로 현실 자체를 변화시킴.
  • 결론 및 조언:
    • 개별적으로 사소한 속도 저하가 모여서 조직을 위협함.
    • 낙관주의와 결단력의 유지가 팀과 회사의 성공에 큰 영향을 미침.
    • 사람들에게 더 높은 기대와 낙관적인 관점을 부여하면 실제로 그 수준을 달성할 가능성이 높아짐.
    • 스티브 잡스 역시 사람들에게 높은 기대를 걸 때 실제 높은 성과를 얻는다고 강조함.
      최종 메시지:
  • 낙관주의가 현실을 만들도록 하라.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