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이데일리 이영훈 기자] 서울 종로구 낙산공원 성곽길에서 외국인 관광객들이 인증사진을 찍는 모습 |
[이데일리 김명상 기자] 올해 한국을 찾는 외국인 관광객 수가 역대 최대치를 넘어 사상 처음으로 2000만 명을 돌파할 것으로 전망된다. 방한객 증가로 내수 회복과 유통·관광 산업 성장에 대한 기대감이 커지고 있지만, 단순한 방문객 증대를 넘어 소비 확대가 새로운 과제라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문화체육관광부와 한국관광공사 통계에 따르면 올해 1~8월 누적 방한 외국인 관광객은 1238만 명으로, 전년 동기 대비 16.0% 증가했다. 이는 코로나19 이전인 2019년 동기 대비 107.9% 수준으로 완전 회복을 넘어선 것이다.
국가별로는 중국이 373만 명(2019년 대비 95.7%), 일본 229만 명(101.8%), 대만 125만 명(149.7%), 미국 41만 9000명(92.6%)을 기록했다. 주요 방한국의 방문 수요가 일제히 증가하면서 올해 전체 외래관광객이 과거 최대였던 2019년(1730만 명)을 넘어 2000만 명을 넘길 것이라는 전망도 나오고 있다.
![]() |
[이데일리 김태형 기자] 서울 중구 롯데마트서울역점에 전시된 케데헌 협업 상품 |
전문가들은 이 같은 흐름이 하반기에도 이어질 것으로 보고 있다. 이 같은 성장세의 배경에는 K-컬처 열풍이 있다. 넷플릭스 애니메이션 ‘케이팝 데몬 헌터스’의 세계적인 흥행은 한국 관광지에 대한 관심을 불러일으켰다. 작품 속에 등장한 낙산공원, 남산서울타워, 뚝섬한강공원 등은 외국인 관광객에게 새로운 명소로 자리 잡고 있으며, 서울시는 이러한 현상이 서울 관광 콘텐츠 확장에 긍정적인 파급 효과를 내고 있다고 평가했다.
여기에 지난 8월 29일부터 시행된 ‘3인 이상 중국 단체관광객 무비자 입국’ 조치가 중국인 관광객 수요를 한층 더 끌어올릴 것으로 기대된다. 한국관광공사는 이 조치가 내년 6월까지 약 100만 명의 추가 방문객을 유발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외국인 관광객 증가는 내수 경기에도 직접적인 활력을 주고 있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올해 2분기 외국인의 국내 신용카드 사용액은 38억 달러(약 5조 3000억 원)로 분기 기준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 이는 국내 소매 판매의 3.3%에 해당하는 수준이며, 간편결제와 현금까지 포함하면 실제 비중은 더 클 것으로 추정된다. 특히 면세점과 백화점, 드럭스토어, 병원·피부과 등 K-뷰티와 헬스케어 분야에서 외국인 소비가 두드러지게 확대되는 모습이다.
한 면세업계 관계자는 “중국 단체관광객은 개별 여행객보다 도심 면세점과 백화점에서 지출이 많아 수익성 회복을 앞당길 수 있다”고 말했다.
![]() |
[이데일리 김태형 기자] 롯데백화점 면세점 |
다만 관광업계 일각에서는 단순 방문자 수 확대보다 지출액 증대에 초점을 맞추는 것이 필요하다고 지적한다. 일본의 경우 올해 외국인 관광객 1인당 소비액을 20만 엔(약 190만 원)으로 높이는 것을 공식 목표로 설정했다. 2019년 대비 약 25% 상향한 목표치다.
우리 정부도 기존의 방문객 숫자 중심에서 지출 비용을 함께 고려하고 있다. 양적 성장과 함께 질적인 소비 확대에도 초점을 맞추겠다는 것이다. 정부는 K컬처 열풍을 기회로 삼아 이를 촉진하겠다고 밝혔다.
최휘영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은 제10차 국가관광전략회의에서 “일본이 2030년 외국인 관광객 6000만 명 확보를 향해 달리고 있지만 K컬처로 호기를 맞은 한국은 고작 3000만 명이 목표”라며 “해당 목표를 조기에 달성하고 2033년까지 외국인 관광객을 4000만 명으로 늘리고 1인당 지출을 현재 200만 원 수준에서 250만 원 이상으로 확대하겠다”고 밝혔다. 이 경우 관광 수입은 100조 원을 달성하게 된다.
올해 연간 방한객 2000만 명 돌파가 가시화되면서 관광은 내수 경기 회복과 서비스 산업 성장의 핵심 동력으로 부상하고 있다. K-컬처와 정책 지원이 결합된 관광 한류가 한국 경제의 새 성장 엔진이 될지 주목된다.
홍석원 야놀자리서치 연구원은 “외국인 관광객 11명이 한국인 1명의 1년 소비액과 비슷한 경제 효과를 발생시킨다”며 “외국인 관광객을 늘리는 것은 내수 소비를 보완하고 경제 성장 동력 확보에 매우 효과적인 셈”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