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유대주의 대응 미흡” 하버드, 5억달러 내고 트럼프와 화해하나

19 hours ago 4

뉴스 요약쏙

AI 요약은 OpenAI의 최신 기술을 활용해 핵심 내용을 빠르고 정확하게 제공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려면 기사 본문을 함께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하버드대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의 갈등을 해소하기 위해 약 5억 달러의 합의금을 지급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월스트리트저널이 보도했다.

합의가 체결되면 트럼프 행정부는 하버드대에 대한 연구 지원금 지급을 재개하고, 다양한 조사의 중단과 함께 유학생 입학도 허용할 예정이다.

다만, 협정문에 서명이 이루어지지 않아 협상이 무산될 가능성도 남아있다.

회원용

핵심 요약쏙은 회원용 콘텐츠입니다.

매일경제 최신 뉴스를 요약해서 빠르게 읽을 수 있습니다.

하버드대학교 캠퍼스 [사진 = AP}

하버드대학교 캠퍼스 [사진 = AP}

하버드대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의 갈등을 풀기 위해 정부 자금 지원 재개 조건으로 약 5억달러(약 6290억원)의 합의금을 지급하는 방안을 검토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12일(현지 시각)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소식통을 인용해, 하버드대가 교내 반유대주의 대응 미흡 의혹과 관련해 벌금 성격의 합의금을 내고 연방 보조금 지원을 복원하는 협상에 근접했다고 보도했다.

합의가 타결되면 트럼프 행정부는 동결했던 연방 연구지원금 90억달러(약 12조원)를 지급 재개하고, 하버드대를 상대로 진행 중인 각종 법 위반 의혹 조사를 중단할 예정이다. 또한 연방 자금 사용 감시는 중단하고, 대학의 학문적 독립성을 보장하며, 막아왔던 유학생 입학도 허용하기로 했다.

앞서 지난달 컬럼비아대는 학내 반유대주의 방치 의혹과 관련해 2억달러(약 2768억원)를 납부하고 연방 보조금 지원을 재개했다. 하버드대의 합의안이 초안대로 성사될 경우, 트럼프 행정부와 미국 주요 대학 간 합의금 규모로는 최대가 될 전망이다.

다만 트럼프 대통령과 하버드대 고위 관계자들이 아직 협정문에 서명하지 않아, 협상이 최종 무산될 가능성도 남아있다.

트럼프 행정부는 하버드대에 반유대주의 대응 미비의 책임을 묻는 한편, DEI(다양성·형평성·포용성) 정책 폐기와 입학·채용 과정에서의 정부 영향력 강화를 요구해 왔다.

하버드대가 이를 거부하자, 정부는 연방 지원 차단과 외국인 유학생 등록 제한 등 전방위 압박을 가해왔다. 현재 트럼프 행정부는 하버드대 외에도 여러 명문대에 대해 반유대주의 조사를 진행 중이며, 컬럼비아대·브라운대 등 일부 대학과는 이미 합의에 도달했다.

이 기사가 마음에 들었다면, 좋아요를 눌러주세요.

좋아요 0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