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에 서한 보내겠다” 압박
상호관세율 일방통보 의미인듯
베선트 “유예연장, 트럼프에 달려”
인도, 협상위해 체류기간 연장키로
‘난항’ EU는 2~3일 최종협상 예상
미국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가 부과한 상호관세 유예 시한이 열흘 가량 앞으로 다가온 가운데 트럼프 대통령이 무역협상을 진행중인 일본에 “서한을 보낼 것”이라는 경고 메시지를 날렸다. 미국이 일본에 대한 상호관세율을 일방적으로 설정하겠다는 위협으로 추정된다.
백악관은 트럼프 대통령이 이번주 무역 담당 참모들과 만나 세계 각국에 부과할 상호관세율을 논의할 것이라고 전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30일(현지시간) 자신 소유의 소셜미디어(SNS) 트루스소셜에 쓴 글에서 “우리는 그들에게 단순히 서한을 보낼 뿐이며, 앞으로 오랜 기간 ‘무역 파트너’가 되는 것을 환영한다”고 밝혔다.
그는 “나는 일본을 매우 존중하지만, 그들은 대량의 쌀 부족을 겪고 있는데도 우리 쌀을 받지 않으려 한다”면서 이같이 적었다.
트럼프 대통령은 서한의 구체적 내용은 거론하지 않았지만, 전날 폭스뉴스 인터뷰에서 각국의 상호관세율을 서한으로 통보하겠다고 밝혔다는 점을 감안하면 관세율을 일방적으로 통보하겠다는 의미로 추측된다.
트럼프 행정부는 한국·일본을 포함한 57개 경제주체(56개국+유럽연합)에 상호관세를 지난 4월 9일 발효했다가 90일간 유예했고, 유예 기간은 오는 7월 9일 0시 1분을 기해 종료된다.
이날 백악관은 트럼프 대통령이 각국과의 상호관세율을 논의하기 위해 무역 담당 참모들과 만날 것이라고 밝혔다. 캐롤라인 레빗 백악관 대변인은 이날 브리핑에서 상호관세 유예 연장 가능성에 대해 질문받자 “트럼프 대통령은 그것(유예 연장)이 필요하다고 생각하지 않는다고 했다”며 “그는 그들(미국의 무역 상대국들)이 선의로 협상하려 하지 않는다면 많은 나라들에 관세율을 결정할 것”이라고 답했다.
이어 레빗 대변인은 “그(트럼프 대통령)는 이번주에 그 일을 하기 위해 무역팀과 만날 것”이라고 말했다.
이에 앞서 미국의 무역협상을 이끄는 스콧 베선트 재무장관은 블룸버그TV 인터뷰에서 상호관세 유예 연장과 관련한 질문에 “트럼프 대통령에 달려 있으며 난 어떤 국가에도 (유예가 가능하다고) 말하지 않을 것”이라고 답했다.
이어 “우리와 신의성실하게 협상하는 국가들이 있지만, 그들은 만약 우리가 그들의 저항 때문에 결승선을 넘지 못한다면 우리가 4월 2일 수준으로 돌아갈 수 있다는 점을 인식해야 한다. 난 그런 일이 일어나지 않기를 바란다”고 설명했다.
미국과 유럽연합(EU)의 무역협상은 유예 종료 시한 전에 타결되기 어려울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뉴욕타임스(NYT)는 EU가 미국이 불만을 갖고 있는 디지털서비스법(DSA)과 부가가치세 제도를 두고 ‘협상 대상’이 아니라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는 상황이라고 이날 보도했다.
이 가운데 마로시 셰프초비치 EU 무역·경제안보 담당 집행위원이 7월 2~3일 미국 워싱턴DC에서 미국과 ‘최종 협상’을 한다는 계획이다.
당초 지난 27일까지 협상을 마무리한다는 계획이었던 인도는 합의점에 도달하기 위해 대표단의 워싱턴DC 체류 기간을 연장했다고 로이터가 이날 전했다.
로이터는 소식통을 인용해 “인도 대표단은 1~2일 더 머물 수 있다”고 보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