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든 건 내 탓" 지나친 수치심은 毒

3 weeks ago 3

뉴스 요약쏙

AI 요약은 본문의 핵심만 제공하므로,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기사 본문 전체를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수치심은 자신이 나쁘다는 내적 감정이며, 공동체에서 경멸받을 것이라는 인식이다. 이는 사회적 낙인과 연결되어 있으며, 소셜 미디어에서도 공개적 망신을 주어 수치심을 느끼게 한다. 공자는 이러한 수치심을 중시했으며, 한국 사회에서는 강한 영향력을 미친다. 따라서 실패와 좌절 시 모든 것을 개인의 탓으로 돌리고 자기혐오에 빠지는 경향이 있다. 저자는 이를 해결하기 위해 '연결'과 '연대'를 제시한다.

회원용

핵심 요약쏙은 회원용 콘텐츠입니다.

매일경제 최신 뉴스를 요약해서 빠르게 읽을 수 있습니다.

수치심 버리기 연습 데번 프라이스 지음, 신소희 옮김 디플롯 펴냄, 2만2000원

수치심 버리기 연습 데번 프라이스 지음, 신소희 옮김 디플롯 펴냄, 2만2000원

수치심은 부끄러워하는 마음이다. 영어로는 셰임(shame)인데 '가리다, 숨기다'를 뜻하는 원시 인도 유럽어 어근 스켐(skem)에서 나왔다. 고대 그리스와 로마, 중국, 중세 유럽의 문헌에서 수치심은 자신이 나쁘다는 내적 감정, 나아가 자신이 특정한 행동을 했기에 공동체에서 경멸받을 것이라는 인식으로 묘사된다.

사회적 낙인과 수치심은 연결돼 있고, 낙인찍기는 누군가를 규칙 위반자이자 수치심을 느껴야 마땅한 사람으로 표시하는 물리적 행위였다. 소셜미디어에서 공개적 망신 주기도 수치심을 불러일으켜 사회적으로 단죄하는 방식이다.

공자도 수치심을 중시했다. 우리 사회에 유독 수치심의 프레임이 강하게 작동하는 원인이다. 그래서 우리는 '모든 건 노력하기 나름' '하면 된다'는 모토에 사로잡혀 있고 만약 실패와 좌절이 찾아올 때 '모든 건 내 탓'이라며 자기혐오에 빠진다. 저자는 우리를 실패자로 만드는 감정, 즉 수치심과 자기혐오를 내려놓고 '연결'과 '연대'라는 해결책을 제시한다.

[이향휘 선임기자]

이 기사가 마음에 들었다면, 좋아요를 눌러주세요.

좋아요 0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