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켓인]'주인 없는 홈플러스' 매물로…인수 후보는 여전히 안갯속

1 day ago 3

조 단위 홈플러스…"선뜻 나서기 어렵다"
유통대기업은 공정위 부담, FI는 업황 우려
매각 안갯속…"청산 가능성까지 대비"
계속기업가치보다 청산가치 높아

  • 등록 2025-06-30 오후 7:13:09

    수정 2025-06-30 오후 7:13:09

이 기사는 2025년06월30일 17시13분에 마켓인 프리미엄 콘텐츠로 선공개 되었습니다.

[이데일리 마켓in 송재민 기자] MBK파트너스가 지분 전량을 출자전환 방식으로 정리하면서 홈플러스가 사실상 ‘주인 없는 기업’이 됐다. 법원의 회생절차 인가로 인수합병(M&A)이 공식화된 가운데, 홈플러스는 삼일PwC를 매각주간사로 선정하고 본격적인 원매자 물색에 나섰다. 그러나 조 단위 거래 규모, 유통업황 침체, 정책 리스크 등 삼중고 속에서 유력 인수 후보군은 여전히 안갯속이다.

서울 시내 한 홈플러스 매장의 모습. (사진=연합뉴스)

30일 투자은행(IB) 업계에 따르면 홈플러스는 올해 11월까지 최종 인수자 선정을 마치고 관계인 집회를 모두 마칠 예정이다. ‘스토킹 호스(stalking horse)’ 방식도 적용될 예정이다. 이는 사전에 우선매수권자를 정해놓고, 이후 경쟁입찰을 통해 더 나은 조건의 인수자가 나타나면 이를 따르는 구조로, 회생기업의 가치 훼손을 줄이기 위한 회생 M&A 방식 중 하나다.

매각 주관사인 삼일PwC는 하반기 중 투자안내서(IM) 배포에 나설 계획이다. 하지만 투자업계에선 “홈플러스 인수는 현실적으로 만만치 않다”는 전망이 지배적이다. 구조조정에도 불구하고 계속기업가치가 2조5000억원, 청산가치는 3조7000억원으로 추산돼 높은 몸값이 부담이고, 온라인 전환이 더뎠던 홈플러스의 영업 경쟁력도 제한적이라는 평가다.

현재 시장에선 이마트, 롯데쇼핑, 쿠팡, 네이버 등 일부 유통·플랫폼 대기업들이 잠재 후보군으로 거론된다. 그러나 기존 대형 유통사들의 경우 인수 시 사업 중복에 따른 공정위 기업결합 심사 부담이 있고, 투자 매력도도 높지 않다는 이유로 ‘실제 인수전 참여’까지는 회의적인 시각이 많다. 특히 대규모 오프라인 점포를 추가로 떠안는 데 따른 전략적 실익이 뚜렷하지 않다는 분석이다.

이러한 배경 속에 일부에서는 전략적 투자자(SI)보다 재무적 투자자(FI) 위주의 셀다운 가능성을 점치는 분위기도 있다. 회생 절차와 자본 구조가 리셋된 이후, 사모펀드들이 구조조정형 투자로 접근할 여지는 남아 있다는 해석이다. 조 단위 몸값을 감당할 수 있는 FI가 많지는 않지만, 자산 유동화와 비용 효율화 여지가 여전히 있다는 점에서 일부 하우스들이 사전 검토에 나섰다는 이야기도 흘러나온다.

한 사모펀드 관계자는 “부실기업을 사들여 빠르게 정상화한 뒤 투자금을 회수하는 구조에는 홈플러스가 나쁘지 않은 구조이긴 하다”면서도 “유통업 이해도가 높은 FI가 뚜렷이 보이지 않고, 업황 자체가 악화된 데다 규제 리스크까지 커진 상황이라 선뜻 나서긴 부담스럽다”고 말했다.

업계 일각에선 매각 흥행 여부에 따라 자산 매각 후 청산 등 대체 시나리오도 배제할 수 없다는 시각도 존재한다. 이미 부동산 자산의 상당 부분이 유동화된 상황에서, 남은 핵심 자산을 순차적으로 매각해 채권자에 분배하고 기업은 청산하는 방식이 대안으로 거론된다.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