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계·정부·기업, 부동산에 자산 쏠려
주식 비중 높여야 지속가능성 확보
주가 상승 위해선 수급과 실적 필요
수급은 상법개정안·배임죄 폐지로
실적은 인센티브 제도 통해 달성해야
메리츠금융이 대표적인 모범 선례
VC·스타트업 몸값 지나치게 높아져
모태펀드 출자 → 보증으로 바꿔야
헌법재판소는 4월 4일 오전 11시 22분, 윤석열 전 대통령을 ‘파면’했습니다. 이제 새로운 권력이 다시 부상할 시기가 도래했습니다. 새로운 정부는 늦어도 6월에 들어설 예정입니다. 이번 기획에서는 국민의 부(富)를 어떻게 효과적으로 늘릴 수 있을지, 자본시장과 부동산을 취재해 온 기자로서 살펴보겠습니다.
한국 경제, 2/3가 부동산에 치우쳐 있다
고령화로 주식시장 붕괴 가능성 제기돼
한국은행에 따르면 2023년 말 기준 가계는 비금융자산(부동산) 9774조원, 금융자산 5204조원을 들고 있습니다. 가계자산의 65%가 부동산, 35%가 금융상품입니다. 금융상품 중에선 예금·현금(2410조원), 보험·연기금(1457조원), 주식·펀드(1127조원), 채권(167조원) 순입니다. 금융상품 중 예금·보험 비중은 무려 74%에 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