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쏘시스템, 인도 방산대표기업 라페엠피브르社 ‘기술납품’… 정부 무인기개발 동참

2 hours ago 4

인도 제조사, 설계와 제조 효율성 강화
버추얼 트윈 기술로 엔진 개발 3개월로 단축
국방·물류 등 다양한 분야에서 차세대 솔루션 목표

인도 무인항공기(UAV) 제조기업 라페 엠피브르(Raphe mPhibr)는 다쏘시스템의 3D익스피리언스 플랫폼을 도입해 항공 시스템 설계, 검증, 제작 방식을 혁신했다고 13일 밝혔다.

무인항공 시스템(UAS)은 국방, 국토 안보, 농업, 물류, 인프라 모니터링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아지며 2030년까지 약 650만 대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라페 엠피브르는 인도의 항공우주 및 방위 산업 자립화를 목표로, 강도 대비 중량비와 탑재 능력이 우수한 차세대 UAV 개발을 위해 첨단 기술도입이 필요했다고 한다.

라페 엠피브르는 금속, 복합소재, 전자 부품 등 모든 구성 요소를 자체 설계·제작하고 있다. 다쏘시스템의 3D익스피리언스 플랫폼은 물리학적 모델링과 제조 설계를 통합해 제품 개발 주기를 단축했다. 특히 엔진 개발에서 기존 수년 걸리던 작업이 3개월로 줄었으며, 3D 프린팅에 최적화된 부품 재설계가 가능해졌다.

이 플랫폼을 통해 복잡한 복합소재 부품 개발에 성공했으며, 엔진의 무게를 700g 줄였다. 이는 동급 대비 7배 무거운 기존 시스템을 능가하는 성능을 제공한다. 직관적이고 효율적인 부품 설계와 고성능 공기역학 표면 설계를 통해 엔지니어링 한계를 극복했다.

비카시 미슈라 라페 엠피브르 회장은 “드론은 2~3만 개 부품으로 구성된 복잡한 시스템이다. 3D익스피리언스 플랫폼으로 기하학적 제약 없이 유기적이고 자연에서 영감을 받은 설계가 가능해졌다. 이는 우리의 비전을 실현하는 데 최적의 도구”라고 말했다.

데이비드 지글러 다쏘시스템 항공우주 및 국방 산업 부문 부사장은 “라페 엠피브르의 사례는 버추얼 트윈 기술을 활용해 차세대 항공 모빌리티 솔루션을 개발하는 대표적인 사례다. 설계, 시뮬레이션, 협업을 하나의 환경에서 통합해 엔지니어링 우수성을 보여준다”고 밝혔다.

라페 엠피브르는 최근 글로벌 투자자로부터 1억 달러(1450억) 규모 투자를 유치했으며, 이는 인도 항공기 제조업체 중 최대 민간 투자 사례다. 현재 500명 이상의 직원과 100개 이상의 지식재산권을 보유하며, UAV는 인도 보안군과 함께 100만km 이상 운용 실적을 기록했다고 한다.

김상준 기자 ksj@donga.com

© dongA.com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지금 뜨는 뉴스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