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지개벽 용산 국제업무지구 … 11년만에 재시동
노들섬부터 용산공원까지
지상·지하에 보행 네트워크
인근 1만3000가구 주택 공급
새 브랜드명 '용산 서울 코어'
실패한 '통개발' 방식 버리고
20개 필지로 나눠 순차 개발
용산역서 인천공항까지 직통
교통대책에 3조5700억 투입
국토교통부와 서울시가 28일 공개한 용산국제업무지구 개발 밑그림에는 정치(대통령실)·경제(국제업무지구)·문화(용산공원) 기능을 연계해 용산을 명실상부 대한민국 중심지로 탈바꿈하기 위한 방안이 담겼다.
용산을 통과하는 국가상징축(광화문~서울역~용산~한강대로)과 보행녹지축(남산~용산공원~용산국제업무지구) 주요 지역에 5개 랜드마크를 짓겠다는 구상이 눈에 띈다. 5개 랜드마크는 그린스퀘어 내에 만들어질 1만석 규모 공연장과 조형물, 국제업무 구역 '초고층 건물', 용산공원 진입부에 조성이 예정된 '미디어 광장'과 '선큰형 건축물', 국제업무지구에서 노들섬을 거쳐 노량진까지 이어지는 '보행교'를 뜻한다. 이와 함께 정부와 서울시는 한강에서 국제업무지구·용산역·용산공원을 잇는 보행 네트워크를 조성하기로 했다. 랜드마크와 보행녹지를 연결하는 네트워크를 구축해 보행 중심 허브로 만들겠다는 방침으로 지역 정체성 확립과 관광객 유입을 통한 경제 활성화, 브랜드 강화 효과가 기대된다.
용산공원과 국제업무지구 간 연계를 강화하기 위한 방안도 담겼다. 국제업무지구에서 용산역을 거쳐 용산공원까지 걸어서 접근이 가능하도록 입체 보행 네트워크가 조성된다. 지상은 랜드마크 진입 공간으로, 지하는 공공성을 강화한 보행문화공간으로 구축할 계획이다.
용산 르네상스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국제업무지구의 성공적 개발이 전제돼야 한다. 서울시가 국제업무지구를 아시아·태평양 3대 비즈니스 거점으로 만들기 위한 4대 전략과 14개 과제를 제시한 이유다.
우선 국제업무지구는 도시혁신구역으로 지정해 민간사업자가 자유롭게 개발하도록 유도한다. 글로벌 기업 참여를 유인하기 위한 방안도 제시됐다. 글로벌 기업이 직접 개발할 때는 장기 토지임대도 검토할 계획이다. 이는 여의도 국제금융센터(IFC)와 비슷한 개발 방식이다. 토지는 공공이 보유해 임대하고 민간사업자는 토지 위에 건물을 올려 운영수익을 가져간다. 해외에서 종종 활용되는 방법으로 민간사업자에게 토지대금 부담을 줄여주기 위한 방안이다.
용산국제업무지구 개발은 그동안 굴곡이 많았다. 국제업무지구 개발 계획이 처음 발표된 건 2007년이다. 이후 2010년 도시개발구역으로 지정됐지만 글로벌 금융위기 여파로 2013년 구역 지정이 해제됐다. 이후 고 박원순 서울시장 재임 당시 미니신도시로 방향이 바뀌어 지역 주민들의 강력한 반대에 부딪히기도 했다.
정부와 서울시는 과거 실패 사례를 답습하지 않기 위한 방안을 이번에 마련했다. 과거 전체 용지를 통개발하는 방식에서 필지를 20개로 나눠 개발하도록 바꾼 것이 대표적이다. 급격한 대외 경제 환경 변화로 개발사업이 좌초되지 않도록 여러 사업자 참여를 유도한다는 계획이다. 대상지에는 평균 용적률 약 800%가 적용됐다. 다만 도시혁신구역으로 선정되면 일부 용지는 최고 1700%까지 용적률을 높일 수 있다. 총사업비는 14조3000억원 규모로 예상된다.
한편 토지 분양 방식도 단순 토지 매각뿐만 아니라 리츠 투자와 토지 임대 등 다양한 형식을 검토한다. 부동산금융(프로젝트파이낸싱·PF) 사업 심사와 관련해서는 담보와 신용은 물론 사업성과 안정성 등도 함께 평가할 예정이다.
정부와 서울시는 국제업무지구에 2030년까지 글로벌 기업 1호 아시아·태평양 본부를 유치하는 게 목표다. 이를 위해 일본이 도쿄 권역을 아시아 헤드쿼터 특구로 지정했던 사례를 차용한다. 세제 등 종합 인센티브를 제공할 수 있는 방안을 논의 중이다. 글로벌 인재들이 머무를 수 있도록 외국인 학교와 외국인 특화 의료기관 등을 조성하고 지구 일대는 영어친화형으로 만든다.
한편 용산국제업무지구 일대에 주택 총 1만3000가구도 공급한다. 문재인 정부 당시 국제업무지구 내 공급 목표는 1만가구였지만 이번 계획에서는 6000가구로 축소됐다. 대신 지구 바깥에서 도시재생혁신지구 등 공공 주도 사업과 재개발·재건축 등 민간 주도 사업을 통해 7000가구를 공급한다.
용산국제업무지구 브랜드는 '용산 서울 코어'로 결정됐다. 서울 중심부인 용산이 아시아·태평양의 중심으로 도약할 것이라는 미래 비전을 담았다. 지난 7~13일 국민·외국인·전문가 의견을 종합해 도출한 브랜드다.
개발사업에 따른 교통 혼잡을 완화하기 위한 광역교통대책에는 예산 3조5780억원이 투입된다. 도로 기능 강화와 철도 중심 대중교통 체계 구축 등 총 17개 사업이 추진된다.
한편 국토부는 인천 공항철도를 용산역까지 직결 운행하는 노선을 국가철도망 구축계획에 반영할 예정이다.
박상우 국토부 장관은 "서울시와 관계부처가 함께 국가적 역량을 투입해 모든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말했다.
[김유신 기자 / 황순민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