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데일리 스타in 김가영 기자] 한국 콘텐츠 시장이 ‘K콘텐츠 열풍’으로 글로벌 시장에서의 주목을 받은 게 이어 어려움을 겪고 있다.
![]() |
넷플릭스는 21일 오후 서울 종로구 광화문 인근에서 진행된 ‘넷플릭스 인사이트’가 열고 K콘텐츠의 글로벌 영향력에 대해 다뤘다. 이날 자리에는 이성민 방송통신대학교 미디어영상학과 교수, 강동한 넷플릭스 한국 콘텐츠 부문 VP, 고현주 넷플릭스코리아 시니어 디렉터가 참석했다.
넷플릭스가 한국에 자리잡으며 좋은 창작자들과 콘텐츠 등이 글로벌 시장에서 주목 받았고 K콘텐츠 열풍이라는 말까지 등장했다.
그러나 이같은 급변 속에서 한국의 제작 시장이 불황을 겪으며 위기론도 대두됐다. 넷플릭스는 한국의 제작 시장과의 상생에 대해서 고민하고 있다며 “여러가지 종류의 계약들을 하는 것 같다. 한 제작사와 특정 오리지널을 만들자는 계약도 있지만 수적으로 봤을 때 저희와 비슷한 롤을 하는 방송사, 스튜디오와도 협업을 한다”며 “작품 단위는 그런 현상이 일어날 수 있지만 다른 제작사나 이야기를 투자하는 스튜디오 입장에서는 저희와 일을 해서 안정화되는 부분도 있다. 고르게 투자할 수 있는 구조가 있다”고 말했다.
이어 “모든 작품을 다 오리지널로 일관되게 임하는 것이 아니라 그런 밸런스를 의도적으로 지니고 상생을 하려고 노력을 하고 있다”라며 “이런 것들이 유지가 될 것이라고 본다”고 설명했다.
이성민 교수는 “넷플릭스가 성장하고 있는데 국내 생태계는 어려워지고 있다. 제작비 상승에 대해서 얘길 하는데 명품 콘텐츠를 만들어서 산업 자체가 위기라고는 생각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이어 “생태계가 아직은 회복할 수 있을 거라고 본다. 조정의 과정이라고 본다. 시장이 성장할 때마다 위기론이 있었다”라며 “지금 시장이 그 적응의 과정을 겪고 있다고 본다. 과정이 고통스러울 수 있지만, 이 과정에서 나오는 새로운 시도들을 봐야한다고 본다. 글로벌로 갈 수 있는 시장이 열렸고 적응한 곳들은 성장하고 있다. 그 밑단에서 시도할 수 있는 것을 고민해야한다”고 짚었다.
강동완 VP는 한국의 콘텐츠 제작비가 상승한 것에 대해서도 “콘텐츠를 만드는 데 있어서 제작비라는 것이 올라가는 것이 나쁜 것인가? 그런 생각도 갖고 있다. 제작비는 콘텐츠를 위한 원가는 만드시는 분에 대한 창작력과 보상에 대한, 일하시는 분들이 가져가는 것이다”라며 “상승하는 것이 무조건 나쁜 것은 아니다”고 밝혔다.
이어 “7~8년 전까지만 해도 한국 콘텐츠는 외국에서는 공짜로 보는 콘텐츠였다. 한국 콘텐츠를 돈 주고 보지 않았다”라며 “지금은 돈을 주고 보는 콘텐츠가 됐다. 여러가지 의미가 있다. 큰 문이 하나 열렸고 격이 크게 상승했다. 그렇기 때문에 생길 수 있는 기회들이 지금도 생기고 있고 앞으로도 생길 것이다”라고 내다봤다.
강 VP는 “프리미엄 콘텐츠에 대한 기대를 충작하기 위해서는 필수불가결 적인 것으로 투자를 해야하는 부분이 있다. 산업이 만들어지면서 여러 이야기가 나오는데 그 이야기가 다 좋지 않을 수도 있다. 그러나 다시 (상황이)좋아지고 그런 사이클 속에 있다. 앞으로도 반복 할 것이라고 본다”고 말했다.
고현주 시니어 디렉터는 “현재 기준 산업을 기준으로 봤는데, 미래를 생각하고 지속가능할 방법도 고민한다”며 “수요가 증가하는데 그걸 만들 수 있는 인력은 수요 대비 많은가. 아닐 수도 있다”라며 “지금은 신진 감독, 작가, 입봉하는 작품들 등 기회를 드리고 있다. 최근에 얼마나 신인들과 일을 하고 있는지 다시 봤더니 5 작품 중 한 작품을 하고 있다. 의도를 했든 아니든 지켜가면서 후진 양성에도 고민을 하고 있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