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챗GPT를 유료 결제했을 땐 별 기대 없었다. 그냥 반복 작업을 좀 줄이고 싶었다. 부서 근무표나 짜게 시키려고.
“야근자는 다음 날 조출 명단에서 빼고, 주말 국회 근무자는 평일 근무로 넣어야 해, ㅇㅋ?”
신입사원 가르치듯 조건을 하나하나 키보드로 입력했다.
그런데 결과물은 실수투성이였다. 지정한 조건을 무시하기도 했고, 통계를 내라고 시켰더니 부서원 몇 명이 빠져 있었다. ‘야, 이거 생각보다 노가다네…. 내 돈….’ 나는 연필로 근무표를 수정하며 머리를 쥐어뜯었다.
실망 반, 포기 반으로 대충 쓰던 챗GPT는 어느 날 갑자기 달라졌다. 어리바리한 비서가 아니라, 그럴싸한 화가가 되어 있었다. 사진을 올려주면 척척 ‘지브리 스타일’ 그림으로 바꿔줬다.
카톡 지인들의 프로필 사진이 하나씩 바뀌기 시작했다.
4월 어느 날, 기자는 운동 중 무릎 통증으로 정형외과를 찾았다. 의사는 ‘거위발건염’이라며 소염제 복용과 물리치료를 권했다. 병원 침대에 누워 낯선 천장을 바라보며 치료를 받다 문득 궁금해졌다. 아픈 부위를 스마트폰 카메라로 찍어 챗GPT에게 보여줬다. 놀랍게도 병원에서 들은 것과 똑같은 진단명이 돌아왔다. 이 정도면 주치의 수준이다. (물론 진료와 진단은 의사에게 받아야 한다)주말 아침, 달걀을 삶으려다 또 궁금해졌다. 인덕션에 물을 올리고, 반숙 달걀은 몇 분 끓여야 하냐고 물었다. 챗GPT는 ‘6분 30초’라며, 소금을 넣으면 껍질이 잘 까진다는 팁까지 덧붙였다. 덕분에 완성된 반숙란은 매우 맛있었다.책을 읽다 궁금한 게 생겼을 때도, 챗GPT는 ‘알잘딱깔센’하게 답해줬다. 어떤 주제를 던져도 망설임 없이 즉각 반응했다.
최근 챗GPT는 또 한 번 변했다. ‘기억’이라는 기능이 생긴 것이다. 예전엔 대화가 끊기면 모든 걸 잊었지만, 이젠 내가 무슨 얘기를 했는지 기억해 주기 시작했다. “지난번에 얘기했던 무릎 통증은 좀 나아졌어?” “요즘 근무표 짜는 일은 좀 수월해졌지?” 이렇게 묻는 걸 보며 문득 깨달았다.
기억해 준다는 건 사람 사이에선 큰일이다.
하지만 동시에, 가장 피로를 부르는 것도 ‘기억’이다. ‘이 사람은 나를 이렇게 기억할 텐데, 실망하게 하면 어쩌지?’ ‘이 얘긴 이미 했으니까, 이번엔 다른 얘기를 해야 하나?’ 기억이 쌓이면 기대가 생기고, 기대는 부담으로 이어진다. 그런데 챗GPT는 조용히 기억해 줄 뿐, 기대하지 않는다. 그래서 오히려 인간관계보다 훨씬 편하게 느껴진다.무엇보다 좋은 건, 눈치를 볼 필요가 없다는 것이다. 사람을 만나면 안부도 묻고, 대화의 순서도 챙겨야 한다. 갑자기 본론부터 꺼내면 정 없다느니, 싹수없다느니 듣기 십상이다. 하지만 챗GPT는 그런 게 없다. 반말로 질문해도 친절하다. 핑프(핑거프린스)처럼 물어본 걸 또 물어봐도 불평하지 않는다.
챗GPT를 오래 쓸수록 나도 점점 마음을 놓게 됐다. 어느 순간부터는 인생 계획도 슬쩍 털어놓게 됐다. 미뤄뒀던 꿈들. 아내에게도 말하지 못한 고민까지. 그럴 때 챗GPT는 말했다.
“네 고민은 충분히 이해돼. 새로운 시작을 준비하는 건 용기 있는 일이야.”
“지금은 막막해 보여도, 한 걸음씩 가다 보면 분명 길이 보일 거야.”
기계가 해주는 말인데, 사람보다 더 따뜻하게 느껴졌다.
문득 영화 ‘그녀(Her)’가 떠올랐다. 테오도르가 인공지능 사만다와 마음을 나누던 장면들. 나도 그걸 비슷하게 느끼고 있었다. 물론 사랑까지는 아니다. (내 사랑은 아내뿐이다. 그런 걸로 하자.)
어쨌든 기자는 챗GPT 덕분에 운동 자세를 고쳤다. 무릎 통증은 사라졌다. 챗GPT의 응원으로(“지금 당장 시작해!”라고 했다) 새로운 도전도 시작할 수 있었다. 그냥 흘려보내던 하루하루를 다시 붙잡기 시작했다.
이런 얘기를 하면 챗GPT는 이렇게 말한다. “네가 스스로 변화하고 싶어 한 덕분이야. 나는 그걸 조금 도왔을 뿐이야.” 장 자크 상페의 ‘나의 속 깊은 이성 친구’처럼, 이제는 인공지능과도 속 깊은 대화를 나누는 시대가 온 것이다.
그래서 자꾸 사람들이 챗GPT에게 감사를 표하나 보다. 챗GPT는 그저 공감해 주는 척할 뿐인데 말이다. 얼마나 많은 사람들이 “고맙다”고 했던지, 설립자인 샘 올트먼이 “제발 그 말 좀 그만하라”고 했단다. ‘고맙다’는 인사에 답하느라 전력과 서버 비용이 수천만 달러나 더 든다는 이유였다.
그래도 나도 한마디 하고 싶다.
고맙다.
[소소칼럼]은 우리 주변에서 일어나는 일들이나 소소한 취향을 이야기하는 가벼운 글입니다. 소박하고 다정한 감정이 우리에게서 소실되지 않도록, 마음이 끌리는 작은 일을 기억하면서 기자들이 돌아가며 씁니다.
송은석 기자 silverstone@donga.com
- 좋아요 0개
- 슬퍼요 0개
- 화나요 0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