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나마대사에 美우선주의자
운하 환수 의지 밀어붙이기
그린란드 소유 덴마크 겨냥
“주민들도 美 오길 원한다”
캐나다 트뤼도 총리에 조롱
“51번째州 되면 세금 감면”
경제·군사요충지 영향 확대
파나마 운하 반환·그린란드 매입·캐나다 편입을 난데없이 주장하며 상대국을 자극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이 크리스마스 휴일인 25일(현지시간)에도 이들에 대한 도발을 이어갔다.
‘거래’를 위한 단순 도발이라기에는 정도가 지나치다는 점에서 ‘절대 패권’을 향한 트럼프 당선인의 본심이 반영됐다는 해석이다.
보호무역주의·까다로운 이민정책으로 대표되는 ‘고립주의’를 주장해온 트럼프 당선인이 취임을 앞두고 경제·안보 측면을 고려한 ‘신(新) 팽창주의’라는 의제를 던져 국제질서의 판을 흔들겠다는 의도 또한 담긴 것으로 풀이된다.
이날 트럼프 당선인은 자신이 소유한 소셜미디어(SNS) 트루스소셜에 “파나마 운하를 정성스레, 하지만 불법으로 운영하는 중국의 훌륭한 군인들에게 ‘메리 크리스마스’를 전한다”고 적었다. 트럼프 당선인은 110년 전 이 운하 건설 중 미국인 3만8000명이 목숨을 잃었다고 언급하며 중국이 운하 보수비용 수십억달러를 미국에 부담하도록 하지만 미국은 운하에 대해 발언권이 없다고 주장하기도 했다.
그는 곧이어 발표한 성명에서 케빈 마리노 카브레라를 주파나마 대사로 지명한다고 밝혔다. 트럼프 당선인은 이 성명에서 파나마를 “파나마 운하로 우리에게 바가지를 씌우는 나라”라고 표현하기도 했다.
트럼프 당선인은 또 그린란드를 소유한 덴마크에도 도발을 이어갔다. 그는 “그린란드는 국가 안보 용도로 미국에 필요하고, 그린란드 주민들은 미국이 오기를 원하며 우리는 갈 것”이라고 말했다. 덴마크 정부가 트럼프 당선인의 도발에 반발하며 그린란드에 대한 국방비를 대폭 늘리겠다고 밝혔음에도 아랑곳하지 않은 것이다.
파나마와 그린란드는 미국 입장에서 군사적·경제적으로 중요한 요충지로 꼽힌다.
워싱턴포스트(WP)에 따르면 파나마는 미 대륙의 동서를 연결하는 운하가 필요했던 미국에 의해 콜롬비아로부터 지난 1903년 독립했다. 그만큼 미국 입장에서 해상 운송에 있어 오랜 기간 필수적인 존재로 자리 잡아왔다. 미국의 바로 턱 밑에 있다는 점에서 군사적으로도 중요하다. 파나마는 2017년 대만과 단교하고 중국과 관계를 수립했고, 중국과의 관계를 강화하고 있다. 이에 “미국의 ‘20야드 라인(미식축구 터치라인에서 가장 가까운 라인)’에 중국에 있다”는 발언도 있었다.
WP는 트럼프 당선인 측 고위 인사를 인용해 트럼프의 파나마 운하 발언이 “지난 수십 년간 미국이 중국의 성장과 아메리카 대륙에서의 전략적 입지 구축을 도운 시대가 끝났다는 의미”라고 전했다.
WP에 따르면 그린란드에는 미사일 방어와 우주 감시 작전을 위한 미군의 전략 기지 ‘피투피크 기지(옛 툴레 기지)’가 있다. 러시아는 물론 중국과 우주 경쟁이 치열해지는 현시점에서 중요도가 한층 더 커졌다. 또 유럽에서 북미를 연결하는 최단 경로에 자리 잡고 있어 미국이 탄도미사일 조기 경보 시스템을 운영하기에도 적합하다.
무엇보다 그린란드는 네오디뮴과 디스프로슘 등 반도체, 전기차 등의 제조에 필수적인 희토류 광물을 포함한 천연자원이 풍부하게 매장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미국이 그린란드를 편입할 경우 중국 희토류에 대한 의존에서 벗어날 수 있는 셈이다.
이에 따라 트럼프 당선인은 1기 시절인 2019년에도 그린란드 매입 가능성을 타진했다. 당시에도 트럼프 당선인이 내세운 이유는 국가 안보였다.
취임을 앞둔 시점에 굳이 상대국을 도발하면서 두 지역을 언급한 것은 절대 패권국가를 향한 트럼프 당선인의 속내가 반영된 것이라는 해석도 나온다. 중국의 부상을 견제함과 동시에 미국의 경제·안보가 위협받을 요인을 차단하겠다는 의지가 담겨있다는 것이다.
트럼프 당선인은 이날 캐나다에 대한 조롱도 빼먹지 않았다. 트럼프 당선인은 SNS에 쥐스탱 트뤼도 캐나다 총리에게 크리스마스 인사를 전한다면서 “그의 국민은 너무나도 많은 세금을 내지만 캐나다가 우리의 51번째 주(州)가 된다면 세금은 60% 이상 줄어들고, 기업들은 규모가 즉시 두배가 될 것이며, 세계 그 어느 나라보다 군사적으로 보호받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트럼프 당선인은 캐나다가 불법 이민과 마약, 무역적자 문제를 해결하지 못할 경우 캐나다산 수입품에 25%의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밝혔다. 이후 캐나다를 미국의 ‘주’로, 트뤼도 총리를 ‘주지사’로 지칭하는 등 외교적 결례를 저지르면서 조롱의 수위를 높이고 있다.
트럼프 당선인의 발언을 두고 뉴욕타임스(NYT)는 미국 우선주의가 고립주의가 아니라 20세기 초 필리핀에 대한 지배권을 공고히 한 시어도어 루스벨트 대통령의 팽창주의나 식민주의를 떠올리게 한다고 분석했다. 파나마의 독립을 지원했던 대통령 또한 루스벨트 대통령이었다.
한편 공격적 언사를 이어가는 트럼프 당선인의 취임식을 앞두고 기업들의 후원금이 줄을 잇고 있다. 지난 2021년 1월 6일 의회 난동사태 이후 정치 행위에 기부하지 않겠다고 선언했던 기업들도 동참하는 등 트럼프 당선인에 대한 기업들의 ‘줄서기’가 두드러지는 상황이다.
이날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의회 폭동 당시 기부 중단을 선언한 기업들 가운데 최소 11개 기업 또는 단체가 트럼프 취임식에 기부한 것으로 확인됐다고 했다. 이번 취임식 모금액은 트럼프 첫 취임식 당시의 1억700만달러를 넘어설 것으로 예상된다.
2017년 트럼프 1기 취임식 때는 18개 기업이 100만달러 이상을 기부했는데, 이번에는 그보다 많을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WSJ가 지금까지 확인한 기업 수만 13개에 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