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토교통부 대도시권광역교통위원회(대광위)가 향후 10년간의 광역교통 기술개발 방향을 담은 '광역교통 R&D 로드맵'을 공개했다. 자율주행과 디지털 기반의 통합환승체계, 수소트램, 차세대 철도신호체계 등 미래형 기술을 통해 수도권과 대도시권의 출퇴근 교통 문제를 해결하겠다는 전략이다.
대광위는 2일 서울 대한상공회의소에서 로드맵 설명회를 열고 관계기관과 전문가 의견을 수렴했다. 설명회에는 한국교통연구원, 대한교통학회, 국토교통과학기술진흥원 등 교통 관련 기관과 전문가 100여명이 참석했다.
이번 로드맵은 '빠르고 편리한' '스마트하고 친환경적인' 교통을 목표로, 기술 상용화 가능성과 광역교통 개선 기여도를 중심으로 과제를 선정했다.
주요 과제로는 △GTX와 PM(개인형 이동수단), 철도, 버스 등을 통합하는 디지털 트윈 기반 환승센터 운영기술 △외산 의존도가 높은 철도신호시스템을 대체하는 차세대 국산 신호체계 △도심 내 실증을 목표로 한 수소트램 개발 및 국가 기준 정립 △고출력 친환경 동력장치를 탑재한 도심형 대용량 BRT(간선급행버스) 차량 개발 등이 포함됐다.
GTX 연계형 환승센터 운영기술은 실내 내비게이션, 교통약자 동선 최적화, 재난 예측 기능 등을 갖춘 통합플랫폼 구축이 핵심이다. 대광위는 디지털 기반 기술을 활용해 환승 체감 시간을 줄이고 접근성과 안전성을 높인다는 계획이다.
철도 신호체계 분야에서는 무선 기반 열차 제어와 선로전환 기술을 자체 개발하고, 국산 시험기를 통해 비용과 외산 의존도를 줄인다. 수소트램은 실증 운행과 충전 인프라 포함 기준 정립을 목표로 하며, 대전과 울산 등 지자체 사업과 연계될 전망이다.
도심형 대용량 BRT는 트램 수준의 수송능력을 갖춘 친환경 차량과 사전 요금 지불 시스템, 전용 관제기술 개발을 통해 정시성과 품질을 개선한다.
강희업 대광위 위원장은 “이번 설명회를 통해 수렴된 의견을 반영해 로드맵을 보완하고, 관련 기관과 협력해 기술개발이 실제 교통서비스 개선으로 이어지도록 하겠다”며 “지속가능하고 편리한 광역교통 체계를 통해 국민의 일상에 여유를 돌려드리겠다”고 말했다.
박효주 기자 phj20@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