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전 대통령에 대한 내란·외환 혐의 조사가 28일 오후 다시 시작됐다. 12·3 비상계엄 관련 혐의를 추가로 추궁한 경찰의 조사에는 응하지 않았지만, 부장검사들이 주도한 외환죄·국무회의 관련 조사에는 응하면서 일부 조사가 재개됐다.
내란 특검은 28일 오후 7시 브리핑에서 “윤 전 대통령 측의 요구에 따라 김정국(사법연수원 35기)·조재철(36기) 부장검사가 조사에 참여했다”고 밝혔다. 두 부장검사는 국무회의 의결 과정과 외환 혐의 등을 중심으로 신문을 진행했다. 다만 “윤 전 대통령이 경찰이 담당한 조사에 대한 '조사자 교체'를 요구하며 오후 조사에 응하지 않아, 경찰이 맡은 체포 방해 및 비화폰 삭제 혐의는 조사하지 못했다”고 설명했다.
이날 오전 조사에는 박창환 경찰청 중대범죄수사과장(총경)이 참여했다. 박 총경은 윤 전 대통령 체포영장을 청구할 당시 핵심 혐의였던 체포영장 집행 저지 지시와 비화폰 자료 삭제 지시를 수사한 인물이다.
윤 전 대통령은 오전 10시 14분 출석해 박 총경의 신문에 1시간가량 응했으나, 점심 식사 뒤 박 그가 과거 체포영장 집행을 지휘했다는 이유로 조사 중단을 요구했다. 특검 측은 “박 총경은 직접 집행을 지휘하지 않았다”고 설명했지만, 윤 전 대통령 측은 오후 내내 대기실에 머물며 조사에 응하지 않았다.
이에 오전 조사에서 작성된 피의자 신문 조서에는 윤 전 대통령의 서명이 빠진 것으로 확인됐다. 특검 측은 “조서 효력은 없지만 조사 자체로 활용 가능성이 있다”고 밝혔다. 외환 혐의 조사에는 윤 전 대통령이 응했으며, 국회의 비상계엄 해제 시도 저지와 국무회의 의결 구조 전반에 대해 폭넓은 질의가 이뤄졌다.
특검은 윤 전 대통령의 건강 상태를 고려해 이날 자정 전 조사를 마무리할 계획이었지만, 예정된 조사 분량을 모두 소화하지 못해 추가 소환이 불가피하다는 입장이다. 윤 전 대통령은 오후 9시 이후 진행될 심야 조사 자체에는 동의했으며, 특검 측은 “오전 9시로 예정됐던 출석 시각을 10시로 조정한 것도 건강을 감안한 조치”라며 “무리하게 심야까지 조사를 이어가진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특검팀은 윤 전 대통령에 대한 호칭을 조사실 내에선 ‘대통령님’으로 유지하고 있으며, 신문조서에는 ‘피의자’로 기재하고 있다고 밝혔다. 조사 도중 윤 전 대통령은 오후 7시 저녁 식사를 위해 조사를 잠시 중단했으며 이내 재개될 전망이다.
정희원 기자 tophe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