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25%·품목별 관세 폐지 어렵다…수입 규제 장벽 대비”

7 hours ago 2

무협 대경본부, 글로벌 통상환경 대응전략 세미나

ⓒ뉴시스
한국무역협회 대구경북지역본부(무협 대경본부)는 16일 대구무역회관에서 대구·경북 수출기업의 글로벌 통상환경 대응전략 세미나를 열었다.

산업통상자원부·무역안보관리원과 공동으로 기획한 이번 세미나는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정책과 각국에서 자국의 산업보호를 위한 무역안보 관련 통제제도에 대한 정보를 제공, 지역 수출기업의 대응 방안 수립을 지원하기 위해 마련됐다.

세미나에서는 ▲국내외 무역안보 동향(산업통상자원부 무역안보정책과) ▲전략물자 관리제도 및 무허가 수출사례(무역안보관리원) ▲트럼프 행정부 주요 통상조치 현황 및 전망(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통상연구원) ▲EU ESG(환경·사회·지배구조) 통상규제 현황 및 대응 전략(대신경제연구소 ESG컨설팅센터) ▲통상환경 변동 대응을 위한 자금조달 방안(대신증권 IB부문) 등을 주제로 발표가 이어졌다.

한아름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통상연구원 수석연구원은 “관세조치가 조정될 가능성이 있으나 대 한국 상호관세 25%나 품목별 232조 관세를 완전히 폐지하기는 어려울 수 있다”며 “미국 관세조치의 영향으로 EU(유럽연합), 동남아 등 제3국에서 반덤핑, 세이프가드 등 수입규제 장벽이 높아질 가능성에도 대비해야 한다”고 말했다

대신경제연구소 ESG전략컨설팅센터 윤중식 센터장은 “신 EU 집행위는 지속가능성공시(CRSD), 공급망실사지침(CSDDD), 탄소국경조정제도(CBAM) 등을 통해 무역 체제의 안정성과 투명성을 강화해 나가고 있다”며 “한국 기업들이 EU 시장에서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 EU 정책에 대한 이해와 대응 역량을 키워야 할 시점”이라고 강조했다.

대신증권 IB부문 조윤호 팀장은 “급격한 통상환경의 변화로 수출기업의 불확실성과 함께 금융 부담이 커지고 있다”며 “전환사채 뿐만 아니라 모태펀드·혁신성장펀드 등 정책금융을 통한 자금조달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한국무역협회 대구경북지역본부 권오영 본부장은 “최근 트럼프 신행정부의 보호무역주의 확대, 중국·미국의 전략물자 수출통제, EU의 ESG 정책 강화 등으로 글로벌 통상환경 불확실성이 높은 시점”이라며 “각국의 통상정책에 대해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하면서도 기존 주력시장 외에 새로운 CIS·중동·동남아 등 전략시장을 중심으로 지속적인 신규 거래처 발굴이 필요하다”고 밝혔다.[대구=뉴시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지금 뜨는 뉴스

Read Enti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