習의 여유 뒤엔 '애국소비·美국채 보유'

2 weeks ago 12

뉴스 요약쏙

AI 요약은 OpenAI의 최신 기술을 활용해 핵심 내용을 빠르고 정확하게 제공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려면 기사 본문을 함께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관세 인하를 시사하며 미·중 무역 협상이 전개되는 가운데, 중국이 유리한 고지를 점할 다섯 가지 카드를 쥐고 있다는 보도가 있었다.

첫 번째 카드로는 중국의 고통 감내 여력이 언급되었으며, 두 번째 카드로는 첨단 기술 역량이 강조되었다.

또한, 선제적인 '탈미국', 미국 국채 보유, 그리고 희토류 자원 장악이 나머지 세 가지 카드로 지목되었다.

회원용

핵심 요약쏙은 회원용 콘텐츠입니다.

매일경제 최신 뉴스를 요약해서 빠르게 읽을 수 있습니다.

자생적 AI 생태계도 갖춰
中 "빅딜 하려면 존중부터"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관세 인하를 시사하면서 미·중 간 무역 협상의 물꼬가 트인 가운데 미국을 상대로 중국이 판세를 유리하게 끌고 갈 다섯 개의 카드를 쥐고 있다는 조명이 나와 눈길을 끈다.

영국 BBC방송은 23일(현지시간) '미국과 무역 전쟁에서 중국이 쥔 다섯 가지 카드'라는 기사에서 중국이 쥔 첫 번째 카드로 '고통 감내 여력'을 꼽았다. 세계 2위 경제 대국으로서 다른 국가보다 버틸 체력이 있는 데다 10억명이 넘는 인구를 바탕으로 한 거대한 내수시장이 일정 수준 완충 역할을 할 수 있다는 것이다. 여기에 중국 정부는 소비 촉진을 위해 각종 부양책을 꺼냈고, 그 결과 중국의 올해 1분기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은 시장 예상을 웃돈 5.4%에 달했다.

최근에는 미국의 대중 부과가 잇따르자 미국산 수입품 대신 '가성비'가 우수한 자국 상품을 구매하자는 '궈차오(애국소비)' 바람까지 불기 시작했다.

두 번째 카드로는 '첨단 기술 역량'을 언급했다. 인공지능(AI) 모델인 '딥시크'를 비롯해 첨단 산업 분야에서 중국의 성과가 연달아 나오고 있다.

선제적인 '탈미국'이 세 번째 카드다. 2018년 트럼프 행정부가 중국산 태양광 패널에 관세를 부과한 뒤 중국은 무역에서 미국 의존도를 낮추는 데 중점을 둬왔다.

예컨대 과거 중국이 수입하는 대두의 40%가 미국산이었다. 하지만 트럼프 1기 행정부를 거치며 그 비중은 20%까지 줄었다.

네 번째 카드는 중국이 미국 국채를 7000억달러(약 1000조원)어치 보유하고 있다는 점이다. 또 사실상 중국이 장악하고 있는 희토류를 마지막 카드로 꼽았다. 희토류는 반도체 등 첨단 산업에 쓰이는 필수 원재료로 이는 중국의 실질적인 무기라고 BBC는 설명했다.

중국 관영 언론인글로벌타임스는 이날 사설에서 "중·미 간 '빅딜'이 필요하다면 그것은 협력을 기반으로 한 공조 강화"라고 했다.

[베이징 송광섭 특파원]

이 기사가 마음에 들었다면, 좋아요를 눌러주세요.

좋아요 0

Read Entire Article